인천, 수도권매립지 올해 종료... 대체지 공모 수차례, 후보지 無 도내 공공매립지 수용 ‘한정적’... 민간 소각장은 재정적 부담 커 道 “4차 공모 혜택 확대 등 논의”
인천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가 올해로 사용 종료를 앞두고 있지만, 이를 대체할 매립지가 확보되지 못하고 있어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의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반입총량제’로 인해 도가 수도권매립지에 반입할 수 있는 폐기물량이 줄어들고 있지만, 도내 공공매립지가 수용할 수 있는 폐기물은 한정적이라 대책이 시급하다.
26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2020년 인천시는 자체 매립지를 조성해 인천에서 발생한 쓰레기만 처리하겠다고 선언하며 올해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폐기물 처리 문제는 갈수록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체 매립지 조성은 첫 삽조차 뜨지 못한 채 지지부진한 상태다.
도는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해 2021년에 1·2차, 지난해 3차 등 총 세 차례에 걸쳐 대체매립지 공모를 진행했으나 응모한 지자체는 단 한 곳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는 사이 도내 폐기물 매립량은 매년 120만t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156만5천t, 2022년 120만4천t, 2023년 129만7천t 등이다.
반면 2020년부터 도입된 반입총량제로 인해 수도권매립지에 반입할 수 있는 생활폐기물 양이 제한되면서 반입량은 줄어드는 추세다. 도는 2021년 123만5천t의 폐기물 수도권매립지에 반입했으나 2022년 87만4천t, 2023년 61만4천t 등 2년 사이 반입량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도내에는 공공매립지 9곳이 존재하지만 이곳에서 최근 3년(2021~2023년) 동안 매립된 폐기물량은 총 30여만t으로 매년 10만여t밖에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연도별로 보면 2021년 9만914t, 2022년 10만6천291t, 2023년 9만729t 등이다.
이에 따라 도는 나머지 폐기물을 민간매립지에 보내고 있지만, 이 경우 1t당 평균 30만원에 비용이 사용되는 만큼 재정적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결국 수도권매립지가 예정대로 운영을 종료할 경우 대체매립지 확보는 시급한 과제로 떠오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대체 매립지 마련이 시급하지만 주민 반대 등의 이유로 응모하는 지자체가 전혀 없어 난감한 상황”이라며 “4차 공모에서는 주민 혜택 확대와 인센티브 강화 등 다양한 방안을 논의해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주민반대 벽에 막혀…수도권 대체매립지 '첩첩산중' [집중취재]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226580368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