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김동연 등 비명계 제시한 요구 받아들일지 관심 이 대표 3월26일 항소심 판결 결과에 따라 완전히 달라질 것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회동하면서 비명(비이재명)계 회동이 모두 끝났다. 김 지사는 이번 회동에서 이 대표를 향해 ‘민주당으로 정권교체가 가능할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개헌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와 같은 작심 발언을 이어갔다.
이런 가운데 김 지사를 비롯한 비명계 회동이 마무리된 상황에서 이 대표가 회동 내내 통합을 강조했던 만큼 비명계가 제시한 개헌 등의 요구를 받아들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 지사와 비명계 인사들은 이 대표와의 회동에서 이 대표에게 공통으로 개헌 필요성을 주장했다.
특히 김 지사는 지난달 28일 회동에서 이 대표에게 제7공화국을 만들기 위한 권력 구조 개편, 경제 개헌, 이를 위한 임기 단축 등 개헌에 관한 전향적인 입장을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8년 전 촛불혁명 때는 민주당 정부에 머물렀지만, ‘빛의 혁명’에서는 우리가 연대하고, 그런 의미에서 민주당의 기득권을 내려놔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헌은 블랙홀이 아니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관문이 될 것”이라며 “제7공화국을 만들기 위한 권력 구조 개편, 경제 개헌, 이를 위한 임기 단축 이런 논의가 제대로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 김 지사는 이 대표와 국민의힘의 상속세 개편 논쟁에 대해 “감세 포퓰리즘”이라고 직격했다. 그는 “수권정당으로서 필요하다면 용기 있게 증세 문제를 검토하고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대표는 “우리가 같은 민주당 당원으로서 국민이 더 안심하고 우리나라가 더 발전할 방향이 무엇인지 한번 같이 얘기를 나눠보기로 하자”고 말하며 당내 화합에 초점을 맞췄다.
통합을 위한 이 대표의 릴레이 비명계 인사 회동이었지만 그간 비명계 인사들은 일극체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직간접적으로 내비쳤다.
앞서 임종석 전 실장은 지난달 27일 이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이 대표 외 다른 대선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사실상 차기 대선 구도에서 ‘이재명 독주’에 제동을 걸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김경수 전 지사도 지난달 13일 만남에서 이 대표의 강성 팬덤을 겨냥해 “팬덤정치의 폐해를 극복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이 대표가 회동에서 개헌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오히려 당내 화합 등만 강조했지만, 비명계의 개헌 요구 등을 완전히 외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비명계가 개헌을 연결고리로 이 대표를 계속 압박하고 있고, 탄핵 심판을 받는 윤석열 대통령조차 최종 변론에서 개헌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이 대표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다시 통합을 강조하며 비명계 연쇄 회동에 나섰지만 실질적 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됐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김동연 지사가 개헌 등 자신이 생각했던 얘기를 쏟아내면서 이 대표와의 차별을 부각했다. 이는 민주당 조기 대선 주자로서의 존재감을 키우기 위한 행보로 볼 수 있다”며 “특히 이 대표와 비명계의 관계는 이 대표의 항소심 판결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만큼 비명계 요구를 일부라도 받아들일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