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중국 누리꾼의 ‘문화 도용’ 주장에 한국 매듭 장인과 콜라보한 자사 핸드백 제품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삭제한 해외 명품 브랜드 펜디를 비판했다.
서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펜디가 중국 누리꾼의 공격을 받고 한국 전통 매듭과 협업한 가방을 홈페이지 등에서 삭제해 논란이 되고 있다"며 "협업 가방을 삭제한 건 중국 누리꾼의 억지에 굴복한 꼴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는 메일을 보냈다"고 밝혔다.
이어 “한·중·일 매듭은 엄연히 다르다”며 "'중국 매듭은 종류가 다양하고 화려한 반면, 한국 전통 매듭은 단색의 끈목을 이용해 모양을 맺고 아래에 술을 달아 비례미와 율동미를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라는 설명도 적어 보냈다"고 말했다.
아울러 “더 이상 중국 누리꾼들의 억지에 속지 말고, 빠른 시일 내에 공식 홈페이지와 SNS에 게시물을 다시 올리길 바란다고 강조했다"고 했다.
앞서 펜디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13호 김은영 매듭 장인의 손이 보태진 핸드백을 지난해 말 공개했다. 지난 1997년 디자인된 일명 '바게트 백'에 각국 공예 기술을 더해 예술작품으로 재해석하는 프로젝트의 하나였다.
하지만 중국 네티즌들은 ‘#FendiChineseKnot’이라는 해시태그를 달며 이 제품이 한국의 장인 정신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 펜디의 홍보자료를 놓고 '자국의 문화를 도용했다'고 비난했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 또한 "중국 매듭은 당나라와 송나라의 민속 예술로 시작해 명나라와 청나라 때 인기를 얻은 장식용 수공예품"이라며 중국 네티즌들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논란이 일자 펜디 측은 자사 홈페이지와 SNS 등에서 관련 홍보 콘텐츠를 삭제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