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혜 “분당에서 노벨상 수상자 배출할 것”

교육부, 분당과학고 지정 최종 동의
기업이 직접 연계형 프로그램 설계 
김은혜 “과학중점고 추가 유치할 것”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 6일 경기일보와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의원실 제공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 6일 경기일보와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의원실 제공

 

“미래가 있는 분당에서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나올 날을 기대해 주세요.”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성남 분당을)은 6일 경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기업이 직접 기업 연계형 프로그램 설계를 주도해 생동감 있는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분당과학고의 특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경기도교육청은 지난달 28일 분당과학고가 교육부의 심의를 거쳐 교육부 장관에게 ‘최종 지정 동의’를 받아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분당중앙고가 미래형 과학고로 전환되면서 분당의 미래 인재 육성에 청신호가 켜지게 됐다.

 

김 의원은 “분당과학고 유치 성공은 분당 주민들과 함께 만들어낸 성과”라며 “그동안 경기도내 과학고가 한 곳에 불과해 원하는 분야를 공부하고 싶은 학생들의 열망을 담아내지 못했는데, 이제 분당과학고를 통해 분당의 인재들에게 날개를 달아줄 수 있을 것 같아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분당과학고가 확정된 데는 김 의원의 노력이 돋보였다. 22대 총선에서 교육 공약으로 ‘특목고 유치’를 내걸었던 김 의원은 당선 직후 지난해 5월 교육 분야 역점 사업으로 성남시장, 성남시교육지원청 교육장을 만나 과학고 유치를 설득했다.

 

8월에는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을 만나 “1천400만 경기도에 과학고가 단 하나뿐이어서 공정한 교육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아이들의 적성에 맞는 교육환경 제공이 필요하다”며 분당과학고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김 의원은 “분당과학고 유치를 공약했을 당시만 해도 다른 정치인들처럼 말로만 하는 약속이라고 생각했던 주민들이 적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러나 1단계 예비 지정 선정, 2단계 특수목적고 지정 운영위원회 심의 단계를 거치며 분당과학고 유치에 대한 기대감이 증폭됐고 이번 3단계 교육부 장관 동의가 이뤄지면서 꿈이 현실이 됐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 6일 경기일보와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의원실 제공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 6일 경기일보와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의원실 제공

 

분당과학고 유치 과정에는 HD현대, 두산에너빌리티, 네이버 등 분당에 위치한 글로벌 기업들이 토론회에 직접 참석, 분당과학고 유치 이후를 함께 논의해 관심을 모았다.

 

김 의원은 “참여 기업들은 AI 기술 연구 및 해외 산업 트렌드 강의 등을 통한 미래 인재 육성 플랜부터 분당과학고 학생들에 대해 주요 계열사 체험, 졸업 이후 채용까지, ‘지역 상생’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과 학교가 시너지를 내는 프로젝트를 구상한 데는 미국 스탠퍼드대 교환연구원 시절, 학교와 기업이 상생하는 프로그램을 접했던 경험이 도움이 됐다는 것이 김 의원 설명이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성남시와 성남시 교육지원청을 앞세워 AI, 바이오(BIO), 프로젝트(진로) 세 가지로 나눠 각 분야 최고의 기관과 선제적으로 업무 협약을 맺기도 했다. AI 분야는 KAIST AI 대학원 연구센터, 성균관대, 서강대, 가천대 등이다.

 

또 BIO 분야는 분당서울대병원, 차의과학대,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등이며, 진로 분야는 HD현대, 두산에너빌리티, 네이버, KT,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수퍼빈 등이 포진해 있다.

 

김 의원은 “해당 기업들은 모두 첨단 미래 기술을 주도하는 산업계 첨병”이라며 “분당에서 세계를 호령하는 인재를 키워낼 동반자들”이라고 부연했다.

 

현재 김 의원의 목표는 분당중앙고와 같은 과학중점고를 추가 유치하는 것이다. 김 의원은 “인재가 모여드는 도시에는 미래가 있다. 기술이 기업을 부르고 기업 생태계에서 혁신이 창출될 것”이라며 “분당 모든 고등학교에서 기업과 연계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추진해 원하는 학생이라면 모두가 특화된 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