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의 철도 지하화 사업이 속도를 낸다. 국토교통부와 경기도·인천광역시·서울시 등 수도권 3개 광역지자체는 통합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과 협력체계 구축에 나섰다.
7일 국토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서울에서 ‘수도권 철도 지하화 마스터플랜 전담조직(TF)’이 발족식을 했다. 이번 TF는 국토부, 경기도, 인천시, 서울시와 국책연구기관, 한국토지주택공사(LH), 국가철도공단 등 공공기관이 참여해 기술적 쟁점 해소와 이해관계 조율을 담당한다.
국토부는 TF를 격주 단위로 운영하며, 초기 회의를 통해 주요 쟁점을 집중 도출할 계획이다. 또 광역지자체뿐만 아니라 기초지자체 의견까지 폭넓게 수렴해 수도권 전 구간을 대상으로 최적의 사업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수도권의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은 열차 운행이 상호 연계돼 있으며, 지상에서 연결·분기되는 구간이 많아 지하화 추진이 쉽지 않다. 특히, 서울 구로·청량리·이문 차량기지 이전과 같은 기술적 과제도 해결해야 한다.
아울러, 수십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비 조달 방안, 수익 노선과 적자 노선 간의 교차 보조 방안 등도 TF의 주요 논의 사항이다. 수도권 전 구간의 지하화를 검토하는 한편, 일부 구간을 우선 시공하거나 단계적으로 착공하는 방식도 고려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번 TF 운영을 통해 광역 지자체뿐만 아니라 기초 지자체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수렴할 계획이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수도권 철도 지하화는 ‘철도지하화특별법’의 제정 배경이자 핵심 사업”이라며 “지자체 및 전문가들과 협력해 실질적인 추진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시의 경우, 이번 TF를 통해 경인선 등 지역 내 철도 지하화 가능성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수도권 철도 노선이 지상에서 연결·분기하는 특성을 고려해 차량기지 이전 문제와 사업비 재원 분담 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TF 발족을 계기로 수도권 철도 지하화 사업이 본격적인 논의 단계에 접어들면서, 경기도, 인천시를 비롯한 수도권 지자체의 협력이 사업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