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문석 위원장 “의사소통 문제 해결 시급한 상황” 경기도에 산업단지 등 몰려 이주민 비율 전국 최다 “지역 특색 반영한 한국어교육 모델로 전국 선도”
초고령 사회 진입과 노동인구 감소의 여파로 국내에 취업한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 증가로 이들에 대한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지역형 한국어교육’ 모델 수립을 고민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국제사이버대학교가 주관하고 양문석·김문수 국회의원실이 공동 주최한 ‘상호문화 이해 증진과 실용적 한국어교육 강화’ 세미나가 개최됐다. 이 행사에선 경기도내 이주민과 지역 특성에 따른 교육 콘텐츠를 개발해, 선도적인 한국어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자유발언과 토론이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다문화위원회 양문석 위원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국내 거주 이주배경인구(이주민)의 43.4%가 언어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언어장벽으로 인한 의사소통 문제 해결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양 위원장은 이어 “초창기 다문화교육은 단순히 한국어를 가르치고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복지’ 성격의 교육에 국한돼 있었다. 이제는 더 나아가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스스로의 강점과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진정한 ‘교육’으로 도약해야 한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문화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선 경기도교육청 장학사는 ‘이주배경학생의 한국어집중교육을 위한 경기한국어랭기지스쿨 운영’을 주제로 발제했다. 김 장학사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시작한 사업이 교육부 한국어예비과정으로 확장되어 2024년부터 전국적으로 실시 운영되고 있다”며 “올해부터는 도내 31개 시군에 전면 확대하고 다문화특별학급을 운영하는 등 확대 운영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산업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 김응조 동국대학교 교수는 외국인 근로자 전용 AI 활용 한국어교육 앱’을 주제로 발제하며 “앱을 활용하면 외국인 근로자의 작업 지시 착오를 줄여 산재율을 30% 이상 감소시켜 근무환경 개선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발제 후 이어진 토론에서 유정균 경기연구원 센터장은 ‘이주민과 상생하는 이민사회’ 실현이 필요하다며 “이주민들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것은 사회 통합과 지역사회 발전에도 이바지한다”고 설명했다.
산업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은 생산성 향상의 동력이라고 말한 구대완 화성상공회의소 회원사업본부장은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 혜택을 볼 수 있도록 근로시간 내 교육지원, 실용적인 커리큘럼 개발,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은 총 268만9천317명으로 국내 총인구의 5.2% 이상을 차지했다. 그중에서도 6개의 국가산단을 포함해 산업단지와 기업이 몰려 일자리가 풍부한 경기도에 거주하는 비율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2월 기준 안산시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은 총 10만8천33명으로 전체 시 인구의 16.1%에 달해 전국 최대 수준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