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최상류 지역에 위치한 영풍 석포제련소의 지속적인 환경오염 문제와 이에 대한 당국의 미온적 대응을 비판하며, 지역 주민들이 집단 민원에 나섰다.
23일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경북 봉화군 석포면 주민들은 지난 20일 석포제련소의 오염 정화 미이행과 낙동강 생태계 위협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며 국가권익위원회에 집단 민원을 제기했다.
주민들은 “공장 주변 토양과 지하수 오염이 심각함에도 정화 및 복원 작업이 사실상 방치되고 있으며, 환경부와 봉화군 역시 구체적인 복원 계획이나 비용 산정조차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해 복원 비용을 산출하고, 영풍 측이 이를 강제 이행하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영풍 석포제련소는 지난 수십 년 간 카드뮴, 납, 아연 등 중금속을 낙동강과 주변 토지에 유출해 왔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제련소 부지와 인근 농경지 등 약 75만㎡의 오염 예상 지역 중, 현재 복원이 진행된 곳은 공장 내부 41.8%, 농지·임야는 12.2%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욱이 오염된 농산물이 여전히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민들은 강한 불안감을 드러냈다.
석포제련소는 복원 비용으로 2천868억원을 자체 산정했지만, 주민들은 객관적인 검증 절차 없이 책정된 금액이라며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환경부가 독립된 환경 전문기관을 통해 복원 비용을 재산정하고, 이를 영풍에 강제로 부담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주민들은 낙동강의 오염이 단순한 지역 민원이 아닌, 국가적 식수원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우기에는 오염된 지하수가 차단되지 않고 그대로 낙동강으로 흘러들고 있어, 추가적인 차단 및 정화시설 설치와 함께 오염원 제거를 위한 종합적인 복원 계획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 주민대표 관계자 “수십 년간 이어진 환경오염에 대해 이제라도 제대로 된 복원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더 이상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실질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