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민간인 진화대원 등 4명 사망... 도내 비전문 산불진화대원 945명 10시간 교육만 들으면 현장 나가... 소방장비 미지급·전문성 뚝 ‘불안’
‘산불진화대’ 인력 체계 부실
경남 산청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벌이던 대원 4명이 숨지면서 지자체 인력에게 대형 화재 대응의 책임을 지우고 있다는 목소리다. 화재 비전문직 인력이 안전 장비도 없이 무조건적으로 현장에 투입, 산불 대응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24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산불전문예방진화대는 산불을 감시하고 인화성 물질을 제거, 초동 진화, 뒷불 감시 등의 역할을 하는 인력이다.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봄철과 가을철에 한시적 기간제 형식으로 채용된다. 이러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은 지난 2월 기준 경기도에 945명이 활동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 대원이 대형 산불 현장 대응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학력과 나이, 관련 자격증 여부 등은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요건에 포함되지 않으며 선발된 인원은 산불 협회에서 단 10시간의 교육만 이수한 뒤 현장에 바로 투입되는 시스템이다.
이들은 안전화, 안전모, 방연마스크, 안전 장갑 등 잔불 정리 등에만 필요한 장비를 지급받고 현장에 투입된다. 정식 소방대원이 아니고 산불 진화가 주 업무가 아니기 때문에 전문 소방장비가 지급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번 경남 산청 산불 현장에 투입된 지자체 소속 진화대원들과 공무원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무리하게 비전문 인력을 투입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21일 창녕군 소속 산불진화대원 8명과 인솔 공무원 1명이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 경남 산청군의 구곡산에 투입됐다. 이후 산불진화대원 3명과 인솔 공무원 1명 등 총 4명이 산 중턱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다. 나머지 대원 5명도 화상을 입고 같은 날 오후 발견됐다. 이들은 화재 현장에 투입됐을 당시 방화복 등 전문 소방 장비가 아닌 평상시에 입던 산불 감시복을 입고 투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채진 목원대 소방안전학부 교수는 “지자체는 화재 전문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화재 현장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다”며 “이번 산불처럼 대형 화재 현장에 지자체에서 기간제로 채용한 진화대원들을 투입하는 건 너무나도 위험한 일이다. 이들은 전문적으로 화재를 대응하고 진화 작전을 이해하는 것도 어렵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산불 컨트롤 타워를 화재 전문 기관인 소방에게 넘기고 지자체 인력은 잔불 감시, 산불 예방 등 보조 역할만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