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동구 ‘땅꺼짐’ 사고 발생... 굴착·상수도관 누수 원인 지목 道 지하철 공사 1곳·예정 4곳...지반 점검·설계 준수 시공 중요 “유사 사고 방지·현장 조사 강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거대 싱크홀 원인 중 하나로 지하철 공사가 거론되면서 경기도내 예정, 또는 진행 중인 지하철 공사 현장에 우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서울시가 지하철 연장과의 관련성 조사를 위해 공사 중단을 결정했고 경기도 역시 지하철 공사가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데, 도는 지역내 모든 현장에 대한 지반 조사를 강화할 계획이다.
25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가 진행 중인 지하철 공사는 별내선 도봉~옥정 구간이며 예정된 공사는 ▲7호선 옥정~포천 연장 구간 ▲고양·은평선 ▲9호선 강동·하남·남양주선 ▲3호선 송파~하남 구간 등 4개다.
특히 7호선 옥정~포천 구간은 26일 기공식을 열고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에 도는 사업 설계 과정에서 싱크홀 발생 가능성까지 반영한 ‘지하 안전 평가’를 받은 상태지만 전문가 추가 의견을 반영해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2020년 10월부터 공사가 진행 중인 별내선 도봉~옥정 구간도 마찬가지. 도는 상수도 파손과 그에 따른 지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매월 안전 평가를 진행하고 있지만 이번 사고를 계기로 추가 안전 대책을 마련, 적용할 예정이다.
서울 강동에서 발생한 지름 20m, 깊이 20m 규모 싱크홀이 지하 굴착, 상수도관 누수에 따른 지반 약화가 겹친 탓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공사가 진행 전후 단계, 진행 과정 모두에 걸쳐 안전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며 “외부 평가 용역이나 감리단 등의 도움을 받아 공사 과정에서의 지반 상태를 예의주시해 유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반 안정성 점검 강화에 더해 철저히 설계를 준수한 시공이 싱크홀 등 사고를 막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강태선 서울사이버대 안전관리학 교수는 “지하 안전 평가 등 사전 예방책도 중요하지만 실제 현장이 공사 기간, 비용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원래 설계대로 안전하게 공사를 이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민간, 지자체가 안전한 공사 여건과 관리 감독 체계를 함께 조성해야 하며 현장 관계자의 경각심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염태영 국회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2023년 10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은 2천85개로 파악됐다. 이중 도내 발생한 싱크홀은 21%인 429개로 전국 최대치를 기록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