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 저지·진화 작업 도움 역할, 산림 면적 0.01%뿐… 투자 필요 지자체 예산 부담에 조성 어려워... 道 “관심 갖고 규모 확대에 노력”
75명의 사상자를 낳은 초대형 산불이 가까스로 진화된 가운데 경기지역 내 내화수림대는 도내 산림 면적의 0.01%에 불과해 극히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잦아지는 대형 산불로 경각심이 커지는 상황에서 산불 확산을 늦추는 방어선이자 진화 작업을 돕는 내화수림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조성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0일 경기도와 산림청에 따르면 내화수림대 조성 사업은 산림청이 지난 2021년부터 매년 추진해 온 국비 보조사업으로, 기존 침엽수림이 산불에 취약하다는 지적에 따라 연소 속도가 느리고 수분이 많은 활엽수를 식재해 불길의 확산을 늦추고 진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 역시 같은 해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내화수림대 조성에 나섰다.
내화수림대는 산불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불에 강한 수종을 띠 모양으로 심어 만든 숲을 말한다. 주요 시설물이나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 등에 조성되며 굴참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대표적인 내화수목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경기지역에 조성된 내화수림대는 총 67.73ha로, 도 전체 산림 면적(51만2천105ha)의 0.01%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도는 산불 피해가 컸던 지역을 중심으로 우선 조성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수원(4ha), 남양주(53.73ha), 가평(10ha) 등 3개 시·군에만 조성됐고, 이 중 대부분이 남양주에 몰려 있어 도내 대다수 지역은 사실상 내화수림대가 전무한 상태다.
이 같은 조성 실적은 전국적으로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전국 산림 면적이 약 629만ha에 달하는 데 비해, 지금까지 조성된 내화수림대는 2천223ha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산불 발생 시 불길을 차단할 수 있는 방어선조차 마련되지 않은 산림이 대부분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조성이 부진한 이유는 예산 부담 때문이다. 1ha당 약 1천500만원이 소요되며, 국비 50%, 도비 15%, 시·군비 35%를 분담해야 해 재정 여건에 따라 각 시·군이 대규모 조성에 쉽게 나서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도는 올해 400ha 규모로 추진되는 내화수림대 조성 사업에서 8ha만 차지하고 있다. 이는 도 전체 산림 면적 대비 0.002%에 불과하며, 강원·경북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산림 면적이 넓다는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도 관계자는 “예산 문제로 대규모 조성은 어렵다”면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향후 규모를 늘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