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의정연수원 설립 공모가 마무리되면서 유치전에 뛰어든 시군들의 치열한 경쟁이 시작됐다. 특히 연천군은 공모 마감 다음날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의회 의정연수원 최적지는 연천이라며 연천 유치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선언했다.
김덕현 연천군수와 김미경 연천군의회 의장, 연천을 지역구로 둔 윤종영 경기도의원 등은 1일 오전 11시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연천군에 도의회 의정연수원이 와야 할 당위성을 피력했다.
연천군은 고대산 평화체험특구인 신서면 대광리 1367 일원 28만7천943㎡(약 8만7천100평) 규모의 공간을 활용해 의정연수원을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김 군수는 “경기도는 오랜 기간 수도권의 경제와 문화, 행정을 이끌어온 핵심 지역이지만, 상대적으로 경기북부 지역은 규제와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발전의 속도가 더뎠다”며 “균형발전을 이뤄할 중요한 시점에 놓여있는 상황에서 이 시대적 과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연천군”이라고 강조했다.
김 군수는 연천군이 1호선 개통 및 국도 3호선 우회도로 개통 등 획기적으로 교통인프라가 확충돼 있고, 유치 예정지는 국도 3호선과 연계된 우수한 교통망으로 수도권 뿐 아니라 강원군과의 연결성도 뛰어나 의정연수원 입지로 최적의 지리적 조건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또한 천혜의 자연환경과 풍부한 역사적, 문화적 자산이 있다는 점도 의정연수원이 목표로 하는 깊이 있는 정책 연구와 개발, 창의적인 브레인 스토밍, 힐링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완벽한 조건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천군은 연수원 유치를 위한 모든 준비를 마쳤다”며 “의정연수원 유치를 통해 경기도 전역의 균형발전과 상생 모멘텀이 되겠다”고 덧붙였다.
윤종영 의원은 “의정연수원은 정책을 기획하고 도민의 삶을 바꾸는 법과 제도를 연구하는 지방의회의 두뇌인 만큼 그 입지는 공간의 크기나 접근성 만으로 판단돼서는 안된다”며 “연수원 기능에 걸맞은 학습 환경, 연구 분위기, 창의적 상상력과 토론이 가능한 공간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연천을 지지하는 이유는 지금 경기도가 필요로 하는 가치, 균형과 상생, 그리고 공존을 품은 지역이기 때문”이라며 “경기도의회가 균형발전의 의지를 실천으로 보여줘야 한다. 연천에 의정연수원을 둔다는 것은 북부의 숙원을 해소하는 상징적 결단이자 도의회가 도민 모두를 위한 기관임을 보여주는 행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미경 연천군의회 의장은 군의회에서 채택한 결의문을 통해 “도 의정연수원의 연천군 유치는 그간 특별한 희생에 따른 도내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적 배려로 반드시 필요”하다며 “연천군은 도의회 의정연수원이 최적의 교육환경을 조성해 최고의 교육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지방자치 발전과 주민의 복리 증진에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한편 도의회 의정연수원은 10만㎡ 규모로 건립하는 기관으로 지방의원들의 교육 및 연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앞서 지난 3월31일까지 희망 시군 공모를 받은 결과 연천군을 비롯해 동두천시, 가평군, 안성시, 남양주시 등 5곳이 공모를 마쳤다.
도의회는 도의원 6명을 비롯해 총 9명으로 구성된 부지선정위원회를 통해 4월 중 현장 실사 및 심의를 거쳐 5월께 의정연수원 건립 후보지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