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스탠퍼드대, 웨일스인 28만여 명 의료 데이터 분석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하면 치매 발병 위험이 20%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스탠퍼드대 파스칼 겔드세처 교수팀은 3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영국 웨일스 지역의 79세 전후 노인 중 대상포진 백신 접종자와 비접종자의 치매 위험을 7년간 추적한 결과, 접종자의 치매 발병률이 미접종자보다 20% 낮았다고 밝혔다.
대상포진은 수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원인이며, 대체로 수십 년 동안 신경 세포 안에 잠복하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는 노년기에 활성화되면서 대상포진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영국 웨일스 지역에서 2013년 9월 1일부터 당시 79세인 사람은 누구나 백신을 접종할 수 있게 했다. 다만 80세 이상은 접종 대상이 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다른 환경 요인은 모두 같으면서 태어난 시기만 몇 주 다른 28만2천541명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이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 관찰했다.
백신 접종 후 7년간 접종 그룹의 대상포진 발생률은 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대상포진 백신 접종자들은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20%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대상포진 백신의 치매 예방 효과를 명백하게 보여준다"면서도 “백신의 면역체계 활성화 효과인지 아니면 바이러스 재활성화 억제 덕분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대상포진 백신이 치매를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효과에 대한 인과관계와 정확한 메커니즘을 밝히려면 무작위 임상시험 형태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로서는 대상포진을 예방하려면 백신을 접종하는 게 최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예방접종에 포함되지 않아 백신 접종 비용을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다만, 지자체별로 고령자를 대상으로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사업을 벌이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