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21~25일 경선 실시 유력 vs 민주, 후보 선출 이달내 마무리 두 달내 경선·본선 촉박한 시간... 일정 확정 등 실무 준비에 분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현실화하며 여야가 이번 주부터 두 달 안에 경선과 본선을 치르는 대선 준비에 돌입한다.
대통령 궐위로 인해 헌법상 60일 이내 대선을 치러야 하는 상황에서, 각 당은 선거관리위원회 구성과 경선 일정 확정 등 실무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6일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이날 중진 간담회와 의원총회를 열고 조기 대선 등 정국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7일에도 비상대책위원회를 열어 선거관리위원회 구성과 경선 일정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의힘은 이르면 이번 주 초 당 선관위를 출범할 예정이다. 경선 일정은 21~25일간으로 설정하는 방안이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2017년 19대 대선 당시에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21일 만에 홍준표 현 대구시장이 최종 후보로 선출됐다.
선관위가 출범하면 대선 예비 후보자들은 후원회를 구성하고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경선 룰은 기존대로 당원 투표 50%와 국민 여론조사 50%의 비율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역선택 방지 조항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당내 대선주자만 10명이 넘는 만큼, 경선 1·2차 컷오프 시 비율 설정도 관심사다. 선관위원장은 상임고문 등 원외 인사가 맡을 가능성이 크다. 선관위원은 원내·원외 인사를 아울러 홀수, 한 자릿수 규모로 구성할 예정이다.
민주당도 이번주 당 선관위를 구성할 예정이다. 선관위는 경선 방식과 선거인단 구성 등을 통해 대선 후보 선출 절차를 밟는다.
민주당의 현행 경선 규정은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50% 국민참여경선이다. 당 일각에서 일반 국민 100% 참여 방식과 모든 야권에 문호를 개방하는 완전 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주장이 제기되지만, 시간이 촉박한 만큼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 중론이다.
당내 경선은 대선 일정을 고려해 19대 대선 때처럼 ▲수도권(강원·제주 포함) ▲호남 ▲영남 ▲충청 네 권역에서 압축적으로 실시해 최종 후보를 선출할 것이 유력시된다. 민주당은 후보 선출을 이달 안에 마무리한 뒤 선거대책위원회를 띄울 방침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