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반대·학교 불만에… 탄핵 겹쳐 좌초 우려 교육당국 “정책 방향 수립 전까지 지속 추진” 道교육청 “예산 329억 확보, 5월부터 2학기 신청”
야당의 반대와 학교 현장 불만에 더해 대통령 탄핵까지 겹치며 정부가 추진해 온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이 동력을 상실할 우려가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당국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정책 방향 수립 전까지는 AIDT 도입을 지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경기도교육청 역시 당분간은 이같은 기조에 발을 맞춘다는 입장이다.
7일 경기일보 취재에 따르면 경기도교육청은 올해 AIDT 관련 예산 329억원을 확보해 해당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 3월 기준 도내 2천523개교 중 1천20개교(40.4%)가 AIDT를 도입했다.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는 학생 개인 능력 및 수준에 맞는 맞춤 학습 기회를 지원할 수 있도록 지능정보화기술을 활용한 교과서다.
이는 윤 전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강조한 정책으로, 디지털 교육혁신 역점 사업 일환이다.
하지만 AIDT 도입은 추진 초기부터 여러 난관에 부딪혔다.
지난 2023년 교육부의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방안’에 의하면 정부는 2023~2024년 도입 준비기간을 거쳐 2025년에 초등학교 3~4학년과 중·고등학교 1학년을 상대로 의무도입, 2026년 초등학교 5~6, 중·고등학교 2학년 등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정부의 의지와 달리 추진 초기부터 AIDT의 교육효과 검증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제기됐고, 지난해 12월 AIDT 지위를 교과서에서 교육자료로 격하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되며 어려움을 겪었다.
야당의 제동에 더해 AIDT를 도입을 두고 ‘시기상조’라는 현장의 불만도 제기돼 왔다.
교육 일선에서는 ▲관련 인프라 부족 ▲이용 편의성 부족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배려 부족 등의 불편으로 토로하고 있다.
경기교사노조 관계자는 “AIDT를 도입한 학교에서 기존에 이용하던 사설 프로그램과 비교했을 때 더 뛰어난 점을 못 느낀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며 “교육 현장에서 예상되는 문제에 대한 고려가 있었는지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윤 전 대통령의 탄핵까지 겹치며 원동력마저 상실될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당시 추진된 국정교과서 사업이 폐기된 것을 고려했을 때 AIDT 도입도 같은 전례를 밟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추후 정부의 정책 방향에 변화될 수는 있으나 현재까지는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달까지 AIDT 도입에 대한 1학기 신청을 진행하고 5월부터는 2학기 신청을 접수할 예정”이라며 “탄핵 이후 사업 추진에 대한 교육부 지침이 내려온 바 없어 지침 전파 이전까지는 정상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