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요 응답형 복지택시 765개 확대

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대중교통이 부족한 농촌이나 외곽지역 주민들을 위해 ‘수요응답형 복지택시 운영 마을’을 올해까지 총 765개로 확대한다.

 

9일 도에 따르면 ‘수요응답형 복지택시’는 대중교통 여건이 열악한 읍면동(마을)을 운영 마을로 선정해 해당 지역에서 복지택시를 이용하면 이용자들은 시·군별로 책정된 버스 요금 수준(1천~2천원)만 부담하면 된다.

 

경기도에는 현재 ‘경기복지택시(도비 지원)’, ‘공공형택시(국토부 지원)’, ‘농촌형택시(농식품부 지원)’ 등 세 가지 형태의 수요응답형 복지택시가 있는데 이용자 자부담 외 나머지 비용은 국비, 도비, 시·군비로 구성된 보조금으로 충당한다.

 

올해 경기복지택시에는 도비 31억1천600만원, 공공형택시에는 국비와 시비 71억4천200만원, 농촌형택시에도 국비와 시비 9억6천800만원 등 총 112억3천만원을 투입된다.

 

수요응답형 복지택시 사업 참가마을은 2020년 372개에서 지난해 761개로 두배 이상 증가했으며, 지난해 기준 한 해 복지택시 이용자 수는 80만명을 넘어 2020년 대비 2배 정도 늘어났다.

 

수요응답형 복지택시는 특히 고령자와 교통약자들이 병원 진료, 장보기, 관공서 방문 등 필수적인 이동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택시업계 입장에서도 승객이 줄어드는 낮 시간대의 수요를 보완해 영업 활성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김성환 도 택시교통과장은 “수요응답형 복지택시 운영 확대를 통해 도내 교통 소외지역 주민의 편리한 이동권을 보장하겠다”며 “앞으로도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실질적인 교통복지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