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군과 옹진군이 정부의 평화경제특구에 포함, 미래 혁신제조업과 신산업 분야 첨단산업단지가 들어설 전망이다.
통일부는 10일 이 같은 내용의 ‘평화경제특구 기본구상(안)’을 확정했다. 통일부는 북한 인접지역에 남북 경제교류와 경제공동체 실현을 목표로 이번 평화경제특구를 구상했다. 비무장지대(DMZ) 남방한계선이나 북방한계선(NLL) 인접 시·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이 대상이다.
인천 강화와 옹진은 경기 파주, 김포, 고양과 함께 서부권역으로 묶여 혁신제조업의 높은 산업집중도를 활용한 ‘미래 혁신제조업, 신산업 분야 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한다.
통일부는 단기적으로 인공지능(AI)과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고효율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적 성과를 낸다는 방침이다.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첨단 기술과 융합 산업으로 확장한다.
단기 사업으로는 스마트 팩토리 및 AI 신기술, ICT 부품 제조 등에 민간기업 유치 인센티브 등을 제공하는 ‘첨단산업 및 AI 단지’를 조성한다. 또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바이오 연구개발(R&D), 전기차 배터리 기술 등 시범사업, 지역 대학 및 연구소와 협력하는 ‘지식정보 및 R&D 단지’도 들어설 예정이다. 이 밖에 농촌 체험 관광과 지역 축제, DMZ 및 해양관광콘텐츠 개발, 생태 복원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관광문화 및 생태환경 단지’도 조성할 전망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강화군, 지역 경제계 등과 함께 강화남단의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해왔다. 이번 평화경제특구가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인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강화에 첨단산업단지가 들어서면 강화남단의 경제자유구역 지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해서는 인프라나 교통을 구축해야 하는데, 첨단산단을 조성되면 시너지를 얻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강화는 인천에서 가장 낙후한 지역으로, 인천에서 AI 산업 등을 추진하려 해도 쉽지 않았다”며 “평화경제특구 조성으로 종전 제조업체들이 AI로 전환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분단으로 인해 그동안 개발에서 소외된 접경지역을 개발, 국토의 균형발전을 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산업 생산을 유발시키고, 남북 경제성장의 선순환 기제를 만들어 남북경제공동체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통일부는 올해 ‘평화경제특구 기본계획’을 수립한 뒤 평화경제특구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