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빈도·강도’ 증가한 강풍… 4월에 집중 [집중취재]

강풍 피해 사고, 4월에 많아… 재난으로 간주 예방 체계 구축
“분야별 안전 의식 재정립해야”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이미지로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이미지로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봄철 강풍에 따른 각종 사고가 1년 중 4월에 가장 집중되고 있으며, 바람 세기와 그에 따른 기상특보 역시 해마다 증가세를 거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기상청이 집계한 경기, 인천, 서울 등 수도권 강풍주의보 및 경보 발효·해제 건수는 지난 9일부터 4년 전인 2022년 4월9일까지 누적 515건을 기록했다.

 

직전 4년인 2018년 4월9일~2021 4월9일(385건) 대비 33.77% 증가한 수치로, 최근 4년간 강풍에 따른 기상특보 발효 건수가 그로부터 4년 전보다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기상청은 바람의 평균 속도가 초속 10m 이상일 경우를 강풍으로 분류하며, 강풍주의보는 풍속 14m/s 이상 또는 순간풍속 20m/s 이상일 때 발효한다. 강풍경보는 그보다 높은 풍속 21m/s 이상 또는 순간풍속 26m/s 이상일 때 발효된다.

 

이는 기후 변화로 매년 경기 지역 풍속이 증가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기상청이 집계한 최근 3년(2023~2025년)간 3~4월 평균 풍속은 1.7m/s, 순간 최대 풍속은 8.3m/s로 집계됐다. 그로부터 3년 전 평균 풍속 1.6m/s, 순간 최대 풍속 8.1m/s 대비 늘어난 것이다.

 

(재)기후변화센터도 강풍에 따른 산불, 구조물 낙하 등 강풍 피해 사고가 1년 중 4월에 가장 많이 집중된다고 분석한다. 건조한 날씨와 저기압, 고기압 간 격차에 따른 거센 바람이 겹치면서 각종 사고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자 전문가들은 정부와 지자체가 기후변화로 빈도, 강도가 증가하는 강풍을 재난의 일종으로 간주, 강풍 맞춤형 재난 예방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김병수 대구가톨릭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최근에는 단순한 바람이 아닌, 좁은 지역에 갑작스럽게 불어닥치는 국지성 강풍과 이상기후 현상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재난 위험 요인이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이러한 변화는 과거 기준으로 설계된 안전 기준이나 시설물 관리 체계로는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상화된 강풍 위험에 대응하려면 일반적인 시설, 화재 관리 수준을 넘어서는, 보다 정교하고 실질적인 대비책이 필요하다”며 “지자체와 건설 현장, 상가 건물 등 분야별로 강풍에 맞춘 안전 의식 재정립과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불씨, 폐간판, 공사 시설물까지…‘각종 피해’ 부채질하는 강풍 [집중취재]

https://kyeonggi.com/article/20250410580379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