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생, 수강신청 포기 등 ‘등록 후 투쟁’ 교육 혼란 야기 고려대, 3·4학년 110여명 유급... 대학 “학칙에 따라 엄정 대응”
이달 초 의대생 전원이 복학했지만, 아주대를 비롯한 일부 의대 신입생들이 수업을 거부하는 ‘등록 후 투쟁’에 나서면서 의대 교육 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13일 교육계에 따르면 아주대와 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고려대·경희대 신입생들은 수업 거부 입장을 확정하고 강의에 불참 중이다. 아주대 의대생의 경우 지난 9일 “수강신청을 포기하고 수업을 전면 거부한다”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경희대는 학생회 투표를 통해 기존 ‘수강신청 보류’에서 ‘수업 거부’로 투쟁 방향을 바꿨고, 연세대·고려대·성균관대 등 5개 대학 학생 대표들은 지난 9일 공동성명을 통해 “정부로부터 책임 있는 답변도, 약속도 듣지 못했다”며 투쟁 지속을 선언했다.
교육계는 수업 불참이 장기화될 경우 24·25학번 유급과 26학번 입학이 겹치는 ‘트리플링’ 사태가 현실화해, 1학년에 최대 1만명이 몰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대학들은 의대생 집단 수업 거부 시 학칙에 따라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고려대는 지난 10일 본과 3·4학년 110여명에 대해 유급 처분을 확정했고, 연세대도 오는 15일 유급 예정 통보를 받은 본과 4학년 일부를 최종 유급시킬 방침이다. 아주대를 비롯해 인하대, 전북대, 전남대 등도 이번 주 중 수업 불참자에 대한 유급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다만, 각 대학은 계절학기를 통해 부족한 학점 이수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수업 거부를 이어갈 경우 실효성은 낮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해 유급된 학생이 이번에 다시 유급될 경우 제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교육부는 “단순 등록이 아닌 실제 수업 참여가 전원 복귀 기준이다. 올해는 학사 유연화를 적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라며 “대학들도 수업일수의 4분의 1 이상 결석 시 F학점·유급 처리, 유급 누적 시 제적까지 가능하다는 학칙에 따라 대응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까지 각 의대 수업 참여율을 집계해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