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도시개발 전담기구 '발목'… 경기도서관 업무는 어쩌나

도의회 기획재정위 임시회 ‘행정기구·정원 개정안’ 중
의회사무처 증원만 포함... 道 계획 차질 우려 목소리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경기도서관 운영과 도시개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전담 기구를 신설하려고 했지만, 도의회에서 제동이 걸렸다. 이에 따라 오는 10월 개관 예정인 경기도서관을 총괄적으로 운영할 담당관 모집에도 차질이 빚어지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3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지난 11일 열린 제383회 임시회에서 도가 제출한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수정 가결했다. 수정안은 도시개발국과 경기도서관 담당관 신설 내용을 제외하고 의회사무처 증원만 포함됐다. 상임위는 경기도서관 담당관을 개방형 직위로 뽑는 것에 대해 의문 등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개정 조례안에는 ▲도시주택실을 도시계획 및 개발 분야 중심으로 기능개편을 위해 도시개발국을 신설 ▲경기도서관 준공에 따라 도서관정책과를 폐지하고 경기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담당관을 신설 ▲의회사무처의 효율적인 의정활동 지원을 위한 공무원 증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앞서 도는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 도시개발국 신설을 추진해 왔다. 지난 1월 도시주택실 내에 자산개발과가 신설되면서 도시주택실 하부조직이 12과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에 현 조직을 도시계획과 도시개발로 분야를 개편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도는 오는 10월 개관 예정인 경기도서관 운영을 위해 개방형 직위로 3급 담당관 신설을 추진해 왔다. 기구정원규정에 따르면 전문적 지식을 활용해 기관장이나 보좌기관을 보좌하는 기구로 담당관을 설치할 수 있다.

 

경기도서관 담당관을 개방형 직위로 채용해 전문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전문 인력을 뽑겠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변화하는 도서관 환경에 대응하고 AI를 활용한 생성형 도서관 운영을 위해 전문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전문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도의회에서 부결되면서 해당 내용의 결정 여부는 오는 6월 정례회로 미뤄졌다. 앞서 도의회가 지난 2월 임시회에서 도에서 제출한 안건 11개를 본회의에 상정조차 하지 않으면서 한 차례 늦어진바 있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서관은 31개 시·군 도서관 정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경기도서관장은 관련분야에 전문성이 있어야 할 뿐 아니라 탁월한 조직관리 능력도 요구된다”며 “10월에 개관될 경기도서관의 운영이 잘 이뤄지기 위해서는 담당관을 이른 시일 내에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