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지오영 인수 직후 2천700억 유상감자…또 ‘현금 회수’ 논란

지오영 로고.
지오영 로고.

 

의약품 도소매 업체 지오영의 최대주주 조선혜지와이홀딩스(이하 조선혜지와이)가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에 인수된 직후 약 2천700억원 규모의 유상감자를 단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수 한 달 만에 회사 자금이 외부로 빠져나간 데다, 이후 재무구조 악화와 순손실 전환까지 겹치며 MBK의 무리한 투자금 회수 방식에 대한 비판이 다시금 커지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조선혜지와이는 지난해 약 2천746억원 규모의 유상감자를 단행했다. 유상감자는 자본의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으로 돌려주는 방식으로, 주주는 이익을 얻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등 재무구조가 악화될 수 있다.

 

유상감자 시점은 MBK의 인수 직후다. MBK는 지난해 6월 조선혜지와이 지분 71.6%를 인수해 최대주주에 올랐고, 같은 해 7월 초 유상감자가 단행됐다. 이에 따라 MBK는 약 2천억원(지분율 기준)의 현금을 회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사회도 MBK 인사 중심으로 재편된 상태였다.

 

유상감자 이후 조선혜지와이의 재무지표는 급격히 나빠졌다. 2023년 말 506%였던 연결 기준 부채비율은 2024년 말 1천600%로 치솟았고, 같은 기간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천819억 원에서 461억원으로 줄었다. 영업이익도 감소했고, 당기순손실로 전환됐다.

 

실적이나 유동성 개선 없이 대규모 자금 회수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MBK에 대한 비판이 나온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사모펀드 입장에서 투자금 회수는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기업의 재무 사정이나 유동성을 고려하지 않은 유상감자와 배당은 책임 있는 투자라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유사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MBK가 인수한 메디트는 2년 연속 적자를 냈음에도 지난해 약 900억원을 MBK 소유 법인에 배당했고, 오스템임플란트 역시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66.5% 감소했음에도 MBK에 892억원을 배당했다. 업계에선 “홈플러스 사태의 전조가 또 반복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편 조선혜지와이의 등기임원 5명 중 조선혜 대표이사를 제외한 4명은 모두 MBK 인사다. 이진하 파트너, 당효성 파트너, 차영수 매니징디렉터가 기타비상무이사로, 천준호 매니징디렉터가 감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들 중 당 파트너를 제외한 3명은 유상감자 직전인 지난해 6월 선임됐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