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 공장들에서 촬영된 고가 소비재 상품의 원가 폭로 영상이 미국 현지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16일 중국계 동영상 공유플랫폼인 틱톡(TikTok)과 미국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는 에르메스 명품 가방, 나이키 운동화, 운동복 브랜드 룰루레몬 레깅스 등 유명 브랜드 제품들의 제조 원가 공개 영상이 다수 올라와 있다.
해당 영상들은 사실 확인 없이 퍼지고 있으며, 일부 영상은 조회수 수백만 건 이상을 기록 중이다.
특히, 초고가 명품으로 알려진 에르메스 버킨백의 원가가 1천395달러(약 200만원)이지만, 실제 판매가는 3만8천달러(약 5천400만원)에 달한다는 내용의 영상이 주목 받았다. 이 영상 조회수는 780만건을 달성했다.
중국 공장 관계자로 보이는 남성이 영상에서 유창한 영어로 버킨백 원가를 자세히 설명하며 판매가 90%는 '에르메스 로고 값'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틱톡 인플루언서는 "미국에서 100달러 이상에 판매되는 룰루레몬 요가 레깅스가 중국 공장에서 사실 5∼6달러에 만들어진다"면서 “자재와 장인 정신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고 폭로했다.
이에 룰루레몬 측은 "중국 본토에서 생산되는 완제품은 3%에 불과하다"면서 “정품 레깅스는 룰루레몬 매장과 공식 웹사이트 등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이 같은 영상들은 단순 폭로가 아닌, 직접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 수단이란 분석도 있다. 또한,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불 지핀 관세전쟁을 비판하는 여론을 미국 내부에서 자극하려는 의도도 있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중국에 대해 145%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추가 부과해 무역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해당 영상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 이후 나오기 시작했다.
한편, 중국 내부에서는 반미감정이 격화되고 있으며 '애국소비' 현상도 이어지고 있다.
중국의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샤오미, 화웨이, 비보 등 중국산 휴대전화가 애플의 아이폰보다 우수하다며 실제 구입하는 영상이 유행을 타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