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와 싱크홀 등 연이은 사고로 인해 지하안전관리 강화 필요성이 커지면서 경기도가 특별안전대책을 마련해 도민 불안 해소에 나섰다.
특히 도는 지하시설물 주변 지반 사고 예방을 위해 ‘경기지하안전지킴이’ 운영을 강화하고, 시·군에서 체계적으로 지하시설물 공동조사(GPR탐사)를 할 수 있도록 장비 구매를 지원한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의 지반침하 특별안전대책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전국 최초 시행 중인 ‘경기지하안전지킴이’를 제도화해 지하시설물 주변 지반사고 예방을 강화한다. 지하안전지킴이는 토질·지질·구조 분야 등 전문가 42명이 지하안전평가 대상(10m 이상 굴착) 현장에서 2인 1조로 안전관리계획 준수 여부 등 현장 자문을 하는 제도다. 지난 2020년부터 현재까지 도내 312개 지하개발사업장과 34개 지하시설물 현장자문을 했다. 도는 해빙기, 우기, 집중호우 시기 등 지반침하 우려 시기에 시·군 지하개발사업장 및 지하시설물의 전문가 현장 자문과 점검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경기도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 운영을 강화한다. 상·하반기 협의체 운영을 수시 운영으로 확대하고, 31개 시·군에도 협의체를 운영토록 조치해 지하시설물 공동 조사 추진과 사고 발생 시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도는 지반탐사(GPR탐사) 관리·감독 주체인 시·군과 협의해 수요를 확인한 뒤 장비구입 및 조사비, 지하안전지도 작성 등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도내 철도 및 대형공사장에 대한 점검도 확대한다. 지난 2일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 현장 지반함몰(싱크홀) 대비 특별점검을 한 이래 공사 현장 및 주변 지역에 대한 외부전문가를 활용한 점검을 지속 실시한다. 또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대형공사장을 대상으로 안전관리계획서 수립, 현장 상태 확인 등에 대한 합동점검을 추진해 우기 전까지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김성중 도 행정1부지사는 “도민 생활과 밀접한 만큼 선제적인 안전관리와 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