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행윤 지역사회부 부장
몸길이는 5㎝ 남짓하다. 옆으로는 납작한 편이다. 꼬리 자루는 가늘다. 푸른 형광빛 가시가 매력적이다. 눈망울도 둥글고 귀엽다. 한국, 일본에서 서식 중인 민물고기인 잔가시고기의 이력서다.
더 들어가 보자. 수컷이 암컷보다 몸이 더 높다. 주둥이는 끝이 날카롭다. 그 끝에 입이 비스듬하게 위를 향해 열린다. 옆구리에서 온몸에 걸쳐 작은 비늘 판이 있다. 뒷지느러미 앞에 있는 가시는 강하고 배지느러미에도 가시가 있다. 가시가 유난히 작고 섬세하다. 이 가시는 위협이 가해질 때나 영역을 두고 싸울 때 펼쳐진다. 몸의 빛깔은 회녹색으로 불규칙한 암녹색 세로줄과 가로반점이 있다. 아가미막은 검다. 수컷의 등 쪽은 회황록색이나 암컷은 암녹색 무늬가 섞여 있다.
어떤 곳에서 살까. 하천 중류의 물의 흐름이 약하고 풀이 많은 곳이다. 먹이는 작은 수생곤충들이다. 먹이활동은 잦고 예민하다. 깔따구 애벌레 같은 생먹이를 주로 잡아먹는다.
이 녀석들의 가치는 환경보호 차원에서 각별하다. 하천 생태계에서 작은 포식자로 먹이사슬의 균형을 유지해서다. 수생식물과 공생하며 서식지 건강을 가늠하는 지표종 역할도 담당한다.
최근 이 녀석들에 대한 경고가 나왔다. 일본에선 거의 찾아보기 힘들어져서다.
이유가 궁금하다. 환경 당국에 따르면 일본에선 하천의 콘크리트화, 서식지 파괴, 수질 오염 등으로 멸종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에서도 상황은 위태롭다. 2018~2020년 이뤄진 동해안과 낙동강 일원 193곳에서 고작 39곳에서만 발견됐다. 2007~2017년과 비교하면 서식지가 42.6% 감소했다. 배스 같은 외래종 유입, 하천 공사, 가뭄, 수질 오염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하천 정비공사를 최소화하고 수질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자연을 다시 돌려줘야 한다. 이들이 사라진다면 기억 속에서만 남게 된다. 서식지 복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까닭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