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민 추진위, 시의회 앞 천막 농성 “공공병원 조례안 가결을”

추진위, 상임위 심의 전 기자회견
“민간위탁 본질 훼손” 원안 촉구
수정안 상정 시 대규모 투쟁 예고

부천시공공병원설립시민추진위원회는 22일 부천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이 직접 발의한 주민 조례안에 민간위탁 조항을 삽입하려는 시도는 본질을 훼손하는 꼼수”라며 “의회는 원안대로 가결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로 9일째 시의회 앞 천막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추진위 제공
부천시 공공병원설립시민추진위원회가 22일 부천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이 직접 발의한 주민 조례안에 민간위탁 조항을 삽입하려는 시도는 본질을 훼손하는 꼼수”라며 원안대로 가결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부천시 공공병원설립시민추진위원회 제공

 

부천 시민 8천300명의 염원이 담긴 '공공의료원 설립 및 운영조례안이 시의회 상임위 심의를 앞두고 막판 분수령을 맞고 있다.

 

부천시 공공병원설립 시민추진위(추진위)는 22일 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이 직접 발의한 조례안에 민간위탁 조항을 삽입하려는 시도는 본질을 훼손하는 꼼수”라며 “시의회는 원안대로 가결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로 9일째 시의회 앞 천막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조규석 추진위 상임대표는 “애초 부결 가능성이 높던 조례안이 시민사회의 지속적 압박으로 가결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민간병원 위탁을 고수한다면 더 강한 투쟁으로 맞서겠다”고 경고했다.

 

추진위는 앞서 시민 8천300명이 주민 서명을 통해 발의한 조례안을 지난해 1월 시의회에 제출했다. 주민조례발안법에 따라 시의회는 오는 30일까지 가부를 결정해야 하며, 이번 임시회에서 행정복지위원회 심사와 본회의 표결이 예정돼 있다.

 

조례안에는 공공의료원 설립을 위한 민·관 협의기구 설치, 운영기본계획 수립, 시립병원 지정 등의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최근 시의회 내부에서 ‘대학병원 민간위탁’ 조항 삽입 논의가 포착되면서 갈등이 불거졌다.

 

추진위는 “민간병원이 넘쳐나는 부천에 또 하나의 민간병원을 짓자는 꼼수에 시민들은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시의회가 조례를 가결하지 않거나 민간위탁 조항을 넣는다면 향후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민주노총, 부천시민연합, 부천한의사회 등 시민단체 대표와 시민 80여명이 참석해 한 목소리로 가결을 촉구했다.

 

발언자로 나선 김성규 민주노총 부천시흥김포지부 의장은 “돈보다 생명, 돈보다 시민”이라며 “산재사망 1위 국가에서 시민 생명권을 위한 공공병원은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미숙 평화미래플랫폼파란 공동대표 “요양병원에서 치료받지 못하고 사망한 코로나 환자들을 기억하라”며 “공공병원은 돌봄을 개인에게 떠넘기지 않겠다는 선언이자, 미래 재난을 대비하는 유일한 대안”이라고 호소했다.

 

시민들은 “민간위탁병원은 이름만 공공일 뿐”이라며 “시민의 건강권을 돈으로 저울질하는 시의회에 더는 기대할 수 없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시의회 행정복지위는 23일 조례안을 상정해 심의할 예정이며, 본회의 표결은 29일로 예정돼 있다. 

 

추진위는 조례가 수정안으로 본회의에 상정되면 대규모 반대 행동에 돌입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시민이 직접 만든 이 조례안이 시의회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지역사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