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전 대통령 파면 등 절차 지연... 의사 결정 등 발언권 약화 우려
국립 인천대학교가 이인재 신임 총장 임용 후보자를 선출한 지 3개월여가 지났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등의 여파로 임명 절차가 늦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박종태 현 총장이 오는 5월9일 퇴임하면 교학부총장이 총장 대행을 맡지만, 1일 뒤 교학부총장마저 퇴임해 자칫 ‘총장 대행의 대행’ 체제 등 비정상적 구조가 불가피하다.
22일 교육부와 인천대 등에 따르면 인천대는 지난 1월 제4대 총장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한 이인재 경제학과 교수를 최종 후보자로 선출, 이사회를 거쳐 교육부에 추천했다. 이후 교육부는 대통령실에 이 후보자의 총장 임명을 제청했다.
그러나 3개월여가 지나도록 이 후보자의 공식 총장 임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대통령실이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인천대 안팎에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도 임명 권한을 갖고 있지만, 제21대 대통령 선거 기간이다 보니 쉽게 임명 절차를 밟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도 임명 권한은 갖고 있기는 하다”며 “다만 대선 정국이다보니 임명을 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로서는 어떤 상황과 결정이 이뤄질지 아무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특히 인천대의 새 총장 임명 지연으로 인한 리더십 공백 우려가 크다. 박 총장이 5월9일 퇴임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새 총장 임명 전 박 총장이 퇴임하면 정관 제8조(총장) 3항에 따라 직제 순서로 직무를 대행한다. 이에 따라 유우식 교학부총장이 총장 대행을 맡는다. 하지만 유 부총장의 임기는 1일 뒤인 10일 까지다 보니 곧바로 노영돈 대외협력부총장이 총장 대행을 맡는다.
국회가 최근 윤 전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 등을 잇따라 탄핵하자, 최상목 경재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을 맡은 것과 비슷한 상황이다.
인천대 안팎에선 이 같은 총장 대행 체제로는 중요 사항에 대한 의사결정 등이 늦어지는 것은 물론 대학총장협의회 등에서의 발언권 약화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인천대의 한 관계자는 “자칫 대선 때문에 총장 대행 체제가 길어지면 내부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가능한 빨리 총장 임명 절차가 이뤄지도록 교육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