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외압 의혹' 임성근 "내 핸드폰 비밀번호 기억 못 해"…포렌식 불발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 관련 렌식 참관을 위해 23일 경기도 과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들어서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연합뉴스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 관련 렌식 참관을 위해 23일 경기도 과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들어서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연합뉴스

 

해병대원 순직 수사외압, 구명로비 등 여러 의혹을 받고 있는 임성근 전 해병대1사단장이 “구명로비 의혹은 전혀 실체가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임 전 사단장은 23일 오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에 휴대전화 포렌식 참관을 위해 출석했다. 임 전 사단장은 출석에 앞서 “공수처가 구명 로비가 없었다는 것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경찰에서 포렌식을, (휴대전화) 암호를 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게 열렸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고, 저 또한 그게 좀 열려서 제가 어떤 구명 로비와 전혀 관계 없다는 것이 소명될 수 있도록 간절히 바라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또 “지난해 8년 포렌식에서 이미 많은 자료가 나왔고, 구명 로비 관련해 언급된 단톡방 참가자들을 포함해 통화목록까지도 모두 수사기관에서 조사가 이뤄졌다”며 “(수사의) 완벽성을 높이기 위해 수사를 더 하는 것 아닌가 싶다”고 언급했다.

 

임 전 사단장은 “박정훈 대령이 이끈 해병대 수사단의 채 상병 사건 수사 과정에 불법이 있었는지 밝혀져야 한다”며 “박 대령을 강요죄로 고소한 사건도 해병대 수사단으로 이첩돼 수사 중”이라며 “박 대령이 저를 조사하기 전 김계환 사령관의 뜻이라며 ‘작전통제권을 육군에 넘겼기 때문에 책임이 없다’는 주장을 하지 말라고 했고, 이에 따라 (조사 당시) 작전통제권이 없어 책임도 없다고 주장하지 못했다”고 했다.

 

다만 “(휴대전화) 비밀번호는 그때도 기억을 못 했고, 지금도 기억나지 않는다”며 “경찰에서 포렌식 작업을 위해 암호를 풀려고 많은 노력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 풀렸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압수했지만, 잠금을 못 풀어 증거 확보에 난항을 겪었다. 임 전 사단장은 당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청문회에 나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 바 있다.

 

이후 공수처는 지난해 8월 임 전 사단장을 소환해 참관한 상태에서 포렌식 작업을 진행했다. 약 8개월 만에 관련 수사가 재개된 것. 다만 이날 포렌식 절차는 임 전 사단장의 녹음 요청으로 진행되지 못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