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인천 5대 공약’ 제안 예정... 주요 현안 반드시 반영 노력 ‘재탕’아닌 구체적 방안도 필요
6·3 제21대 대통령선거에 나설 후보들이 인천의 수도권매립지,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및 경인선·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등의 현안 해결을 공약에 담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단순한 공약 재탕에 그칠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해결 방안은 물론 추진 계획까지 내놔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주요 정당의 경선이 끝나 최종 후보자 결정이 이뤄지면, 후보 캠프 등에 인천 주요 현안들을 뽑은 ‘인천 5대 공약’을 제안할 예정이다. 5대 공약은 수도권매립지 종료 및 대체매립지 조성, GTX-D 노선 Y자 신설, 경인선 및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서해남북평화도로 건립, 인천 내항 주변 원도심 재생사업 등이다.
이와 함께 시는 아이(i)+1억드림과 천원주택 등 인천형 출산정책의 국가정책 전환은 물론, 인천 제2의료원 및 영종 종합병원 설립 등 핵심 사업들을 추린 ‘인천 대선공약 30선’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번 대선은 당선인 인수위원회가 꾸려지지 않는 만큼, 후보의 주요 공약으로 담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통상 인수위에서 공약을 최종 정리하지만, 이번에는 인수위 절차가 없어 캠프 공약이 사실상 당선인 공약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시의 대선 제안 공약은 대부분 지난 2022년 제20대 대선 당시 제안했던 것이거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인천 7대 대선 공약’ 등과 겹친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의 인천 7대 공약 및 28개 세부 사업 대부분이 시작도 못하는 등 지지부진하다. 시는 이들 사업이 인천 시민들의 오랜 바람이자 인천의 대표 현안들인만큼, 이번 대선 때 다시 지역공약으로 반영토록 해 구체화 시키겠다는 것이 목표다.
특히 인천지역 시민단체들도 자체적으로 시민들의 의견을 모아 인천의 대선 공약 등의 발굴에 나서고 있다. 현재까지 영유아 아동 복지 지원 시스템의 아동수당 일원화, 인천 공공의대 설립, 민간 지역대표예술단체 지원사업 확대 등의 의견을 모았다. 시민단체들은 이 같은 공약을 모아 주요 정당 및 후보자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다만, 지역 안팎에선 단순 공약을 제안하고 대선 후보자들이 수용하는 형태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후보자 캠프에서 현안을 공감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까지 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차성수 인천YMCA 사무처장은 “20대 대선 공약도 지켜진 것이 하나 없지 않느냐”며 “만약 똑같은 공약들을 재탕, 삼탕한다면 인천시민의 반발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선 후보들이 인천의 해묵은 현안들의 실현 가능성 등을 비교·분석해 각종 해법들을 함께 제시해야 할 것”이라며 “추후 대선 유력 후보를 따로 만나 공약 이행 서약을 받는 등의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인천의 주요 현안 대부분이 중앙 정부의 의지나 힘, 그리고 지원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대선 공약에 꼭 들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단체와 함께 인천에서 꼭 필요한 대선 공약을 추리는 등 공동 대응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