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이버도박 단속 결과 검거 인원 2명 중 1명은 청소년으로 집계됐다.
24일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조성환 위원장(더불어민주당·파주2)이 밝힌 지난해 청소년 도박 관련 실태에 따르면 사이버도박 단속을 통해 검거된 인원 중 47.3%가 청소년으로 집계됐다.
또한 청소년 4.3%가 도박을 경험했고, 이 가운데 19.1%는 최근 6개월간 도박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중 상당 수가 타인의 명의를 도용해 대리 배팅 등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과 업무협약을 통해 경기북부도박문제예방치유센터(북부센터)와 함께 대응에 나섰던 도의회는 예산 증액 등의 성과에도 추가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조 위원장은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에방교육, 전문 치유 인력과 시스템 구축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라며 “예방을 문화로 만들 때인 만큼 ‘중독 없는 건강한 날’을 선포하고 청소년 중독 예방 페스티벌을 민관학이 함께하는 시민운동으로 정례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말 뿐인 대응이 아닌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는 지역센터 인력 확충과 예산 지원에 나서야 한다”며 “도박문제를 국가가 책임 있게 다루지 않으면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사회와 가정에 전가된다”고 설명했다.
경기북부도박문제 치유 센터장인 전수미 센터장은 “도의회에서 나선 이후 예방교육에 참여한 청소년 수는 5만7천여명에서 16만여명으로 2년 만에 3배가 늘었고, 학교전담경찰관과 연계해 치유서비스를 의뢰한 건수는 20배가 넘었다”고 전했다.
특히 단순한 수사의뢰에 그친 것이 아닌 도박중독 청소년에 대한 치유서비스도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 222건, 2021년 194건, 2022년 221건, 2023년 357건 등에 그친 치유서비스 건수는 지난해 719건으로 배 이상 늘었다.
조 위원장은 “도박문제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문제”라며 “도의회는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지원과 협력을 통해 도박문제 없는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