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도시공사 캠프콜번 일방 독주?…“희망고문으로 전락하나”

하남시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 부지. 하남시 제공
하남시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 부지. 하남시 제공

 

하남도시공사가 미군공여지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 관련, 지역 내 신중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손쉬운 당근책을 제시하면서 강행하는 등 무리수를 두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반적 부동산시장 침체 등 녹록지 않은 대내외적 현실과 역행하는 것으로 자칫 시민들을 상대로 한 ‘희망고문’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감까지 높다.

 

하남도시공사는 지난 23일 공사 공사 대회의실에서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 설명회를 개최한 것으로 알려졌다. 1차 공모가 무산된지 1개월여 만이다.

 

공사는 재공모에 나서면서 1차 공모 때와는 달리 전략시설 확보 비율과 공모 자격 등을 완화하는 내용의 당근책으로 민간사업자 참여를 유도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략육성시설용지 비율을 50%에서 30%로 낮추는 대신, 자족시설용지 비율을 30%에서 50%로 높여 민간사업자 부담과 함께 신청 자격 조건도 각각 완화하는 게 주요 골자다.

 

하지만 국내 전반적인 건설경기 침체 등 시장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형국을 감안할 때 섣불리 성과를 기대하기란 녹록찮아 보인다.

 

그런데도 1차 공모가 무산된지 채 1개월도 지나지 않아 재공모를 서두르고 있다.

 

게다가 시의회 등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사업에 대한 적정성과 함께 신중론을 주문하고 있는데도 강행하는 모양새다.

 

향후 결과에 따라 행정력 낭비는 물론, 관련 용역비 투입 등을 놓고 향후 책임 논란까지 우려되고 있는 이유다.

 

앞서 공사는 지난해 말부터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위한 민간참여자 공모에 나섰으나 참여 업체를 찾지 못하면서 결국 행정력만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참여 의향서 제출사가 20여곳에 달했지만, 지난달 마감 결과, 민간참여자 지정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제출 업체가 단 한 곳도 없었기 때문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야권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수차례 사업에 대한 적정성 문제 등을 들어 성급하게 추진하지 말 것을 주문했는데도 강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관련 용역비만도 상당 혈세가 투입됐을 것으로 보여지는 이 사업에 대해 결과물이 없을 경우 누가 책임질지 궁금하고 행여 시민에 대한 희망고문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편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은 공사가 하산곡동 25만㎡ 규모 미군반환공여지인 캠프콜번 부지에 미래형 첨단산업 등 융·복합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민관합동 방식으로 추진 중인 프로젝트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