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교체 매장 '오픈런'에 T월드 '접속장애' SKT "유심보호서비스 먼저 가입 당부…피해시 100% 책임"
SK텔레콤이 사이버 침해 피해에 따라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진행하는 가운데, 매장 오픈런, 홈페이지 접속 장애 등 혼란이 빚어졌다.
SK텔레콤은 28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T월드 매장 2600여 곳에서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시행했다.
다만,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가 시작되기 전부터 SK텔레콤 대리점에 유심 교체를 하겠다며 찾는 가입자들이 몰렸지만 '수량 부족'을 이유로 허탕을 친 사람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오픈 전부터 줄을 서는 이른바 '오픈런'이 벌어졌다.
이에 SK텔레콤 측은 T월드 매장에서 오래 대기하지 않도록 온라인 예약을 권장 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오전 한때 홈페이지 접속자가 몰리면서 예약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자 누리꾼 사이에서 원성이 일기도 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현재 약 100만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고 다음 달 말까지 약 500만개의 유심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하지만, SK텔레콤 가입자 2300만명과 이 회사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187만명을 합해 교체 대상자가 모두 2500만명에 달한다는 점에서 재고 부족에 따른 혼란이 예상된다.
교체 희망자는 주변 T월드 매장이나 공항 로밍센터를 방문하면 된다. 방문 예약은 T월드에 접속해 희망 대리점을 선택하면 가능하다.
특히, SKT는 유심 교체 전까지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도 당부했다. 유심보호서비스는 해킹 조직이 유심 정보를 탈취·복제하더라도 타 기기에서 고객 명의로 통신서비스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SK텔레콤은 "유심보호서비스는 유심 교체와 동일한 피해 예방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해킹 피해를 막을 수 있으니 믿고 가입해 달라"며 "이 서비스 가입자에게 유심 불법 복제 피해가 발생하면 SK텔레콤이 100%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지난 18일 해커에 의한 악성 코드로 이용자 유심과 관련한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확인했다. SK텔레콤은 사고 초기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권장했지만, 이후 해킹 우려가 커지자 지난 25일 유심 무상 교체를 결정했다. 유출된 정보는 가입자별 유심을 식별하는 고유식별번호 등인 것으로 파악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경찰 등이 조사를 진행 중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