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尹 연루 '채상병 외압 의혹' 압수수색 시도…6시간 만에 집행중지

비서·안보실 압색 시도했지만 6시간 만에 철수… “계속 협의”

윤석열 전 대통령이 연루된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관계자들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민원실을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연루된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관계자들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민원실을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7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연루된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에 대한 외압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대통령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으나, 약 6시간 만에 집행을 중지했다.

 

공수처는 이날 오후 5시30분께 언론 공지를 통해 “대통령 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을 대상으로 한 압수수색이 중지됐다”며 “집행과 관련된 사항은 계속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압수수색은 지난 2023년 7월31일 전후 대통령실 회의 자료와 출입 기록 등의 제출을 요구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제출 방식과 범위에 대한 협의가 필요한 상황에서 공수처는 일단 철수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결과 발표를 취소하고 경찰 이첩을 보류하기 전 사용했던 ‘02-800-7070’ 번호의 서버 기록도 압수 대상으로 삼았다. 이 번호는 대통령경호처 명의로 등록돼 있으며, 해당 번호로 이 전 장관에게 전화를 걸기 전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과 주진우 당시 비서실 법률비서관과의 통화 이력이 확인된 바 있다.

 

이 전 장관은 2023년 7월30일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의 간부를 경찰에 이첩하기로 결재했으나, 이튿날 돌연 이를 번복했다. 공수처는 이 과정에 윤 전 대통령의 외압이 작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그리고 7월31일, 안보실이 참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은 해병대 수사 결과를 보고받고 격노하며 이 전 장관을 질책한 뒤, 이 전 장관은 언론 브리핑 취소와 수사 결과 이첩 보류를 김계환 당시 해병대 사령관에게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압수수색은 공수처가 채상병 사건 수사에 착수한 이후 처음으로 대통령실에 대한 강제수사를 진행한 사례다. 그동안 국방부 관계자들을 참고인으로 조사하는 등의 수사를 이어왔던 공수처는 계엄 이후 내란 사건 수사에 집중하기 위해 수사를 잠정 중단한 뒤 최근 재개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