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동북부 6개 시·군의 협력을 통한 균형잡힌 보전과 개발은 경기동북부를 넘어 한국의 새로운 성장모델이 될 것입니다.”
12일 오후 2시 남양주 경기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경기동북부 친환경 수변 관광개발 상생협의체’ 제1차 정례회의에 참석한 주광덕 남양주시장은 이처럼 밝혔다.
‘경기동북부 친환경 수변 관광개발 상생협의체’는 남양주시, 광주시, 하남시, 구리시, 양평군, 가평군 등 경기동북부권 6개 시·군에 적용되는 상수원 규제 등에 대한 합리적 개선과 상생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구성됐다.
향후 협의체는 단체장 중심의 단체협의체와 실무협의체 등으로 나눠 운영하며 통합관광권역 형성, 경기동북부 규제개선, 지역 거버넌스 구성 등을 주요 의제로 진행한다.
이날 회의에는 주광덕 남양주시장을 비롯해 방세환 광주시장, 이현재 하남시장, 김완경 구리시 행정지원국장, 전진선 양평군수, 서태원 가평군수 등이 참석했으며 ▲북한강 천년뱃길 조성사업 ▲팔당 대청호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 지정 및 특별 종합대책 ▲상수원 규제개선 헌법소원 조속 심리촉구 ▲국가생태탐방로 조성 ▲구리한강시민공원 관광자원화 ▲K스타월드 조성 등이 논의됐다.
또 상수원규제 관련법령에 대한 정비, 대통령 공약 반영, 한강을 중심 개발사업의 6개 시군 구체적 협력방안 구축 등도 제안됐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상수원 관련 법령 등의 경우 모법과 하위법령의 관리 부처가 상이한 경우가 많고 심한 경우 7개 부처에서 나눠 관리한다”며 “이처럼 관리 권한이 흩어진 법령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회의를 주최한 주광덕 남양주시장은 “팔당호의 수자원은 그동안 수도권 물 공급을 담당해왔지만 이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희생과 아픔이 있었다. 더이상 주민들에게 희생을 강요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각 지역의 장점을 살려 개발하고 중첩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6개 시·군의 천혜의 자원은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관광지로 발전할 가능성 충분하다”며 “이날 협의체 발족은 6개 시군의 협력모델을 넘어 모두가 주목할 성장모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