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문수 ‘전국 GTX’, 지역 선정 로드맵도 밝혀라

image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오른쪽)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연합뉴스

 

김문수 후보에게도 특화된 정책이 있다. 바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다. 김 후보가 경기지사였던 2007년 등장했다. 정책특보였던 이한준씨(현 LH 사장)의 건의였다. 이를 김 후보가 채택했고 2009년 공식 발표했다. 당시에는 대심철도라고 불렸다. ‘지하 수십m 철도로 수도권을 30분에 오간다.’ 와 닿지 않는 개념이었다. 모스크바에서 운행 중이라는 설명도 막연했다. 시공 경험도 없을 뿐더러 예산 가늠조차 어려웠다. 모두가 회의적이었다.

 

이걸 전면에 나서 밀고 간 게 당시 ‘김문수 지사’다. GTX 조기 추진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속도를 냈다. 재정이 아닌 민자로 예산 반대를 설득했다. 전문 기관을 통해 사업성도 증명했다. 정부·정치권을 일일이 설득했다. 급기야 2012년 말 이명박 정부가 예산을 반영했다. 이후에는 순풍이었다. 박근혜 정부가 국정 과제로 채택했고, 문재인 정부는 시공에 속도를 냈다. 윤석열 정부에서 A노선이 부분 개통됐다. 페루, 콜롬비아, 엘살바도르 등이 견학을 온다.

 

작금의 선거가 단골로 써먹는 것이 교통 공약이다. 철도 공약과 GTX 공약이 그중에도 핵심이다. 이번 대통령선거도 그렇다. 이재명·김문수 후보가 12일 핵심 공약을 발표했다. 여기에 김 후보가 GTX 확대 공약을 포함시켰다. 전국 5대 광역권 내 ‘전국급행철도망’ 약속이다. 수도권, 부울경권, 대구경북권, 충청권, 광주전남권 등에 설치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의 10대 공약에 직접 언급은 없다. 하지만 주요 공약 이행 방안으로 다 들어있다.

 

우리는 앞서 이재명 후보의 기본소득을 다뤘다. 이 후보를 중심으로 풀어갔다. 김 후보에게는 GTX가 그런 위치에 있는 공약이다. GTX의 개념, 예산, 방식의 경험자다. 유권자들이 갖는 신뢰가 남다를 수 있다. 더 없는 득표 요소로 기대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부족하다. 전국 5대 광역권이라면 사실상 전국 공약이다. 예산과 기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사업이다. 2009년 개념 선포 이후 A노선 개통까지 16년이나 걸렸다.

 

이걸 동시에 착공할 수 있겠나. 불가능하다. 착공의 우선순위가 매겨져야 한다. 선거를 뛰는 후보들의 입장은 있다. 지역을 특정하는 것은 기대하지 않는다. 하지만 착공을 위한 로드맵 정도는 밝히고 가야 한다. 참고해도 좋을 선례가 2024년 총선에 있었다. ‘철도 지하화’ 이슈가 등장했다. 희망 지역이 전국에 수두룩했다. 정부와 정치권이 내놓은 안이 ‘선도 사업 지역 선정’ 로드맵이었다. 그 절차가 지켜졌고 안산시 등 세 곳에서 실현됐다.

 

최소한 이 정도의 로드맵은 추가돼야 한다. 표심은 ‘누가 시작했느냐’가 아니라 ‘누가 해낼 것이냐’를 본다. ‘GTX 로드맵’은 김문수·이재명 공통의 과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