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 비해 3개월 빨리 마련... 도내 경기 침체 심각성 방증 지역화폐 발행 통해 내수 진작... 스타트업·수출기업 지원 방점 지방채 발행 재정건전성 우려
경기도가 올해 본예산 대비 4천785억원을 증액한 39조2천6억원 규모의 첫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면서 ‘민생경제 회복’에 방점을 뒀다. 이번 추경안은 통상 추경보다 약 3개월 가량 앞서 제출된 것으로, 경기 침체 선제 대응을 통한 민생경제 회복이 필요하다는 데 도와 도의회가 마음을 모으면서 성사됐다.
1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지난 30일 1회 추경안을 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지난해 1회 추경안 제출 날인 8월22일보다 약 3개월여 앞당긴 시점으로, 실물경제 불안과 내수 침체, 자영업 폐업 급증 등에 ‘조기 추경’으로 선제 대응하겠다는 의지다.
시점 뿐 아니라 방향성에 있어서도 올해 추경은 지난해와의 차이가 뚜렷하다. 지난해 도는 1회 추경안을 9천867억원 규모로 편성하면서 법적·의무적 경비와 민생, 도민 편익, 지역경제 등 다방면에 예산을 분산 배정했다. 기본주택이나 행복주택 조성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예산을 분산 배정하는 다목적 추경이었다면, 올해는 대부분을 지역화폐 발행 지원을 통한 내수 진작, 경기패스를 통한 교통비 지원, 스타트업 및 수출 기업 지원을 통한 경제 침체 극복에 초점을 맞췄다.
도는 올해 추경의 재원 확보를 위해 지방채를 추가 발행할 계획이다. 올해 본예산 편성 당시 19년 만에 지방채 4천863억원 발행을 결정한 데 이어, 이번 추경에서 추가로 1천억원 이상을 더 조달한다는 구상이다. 이 외에도 국고보조금(1천973억원), 지방채(1천8억원), 세외수입(752억원), 보전수입과 내부거래(560억원), 지방교부세(28억원) 등을 통해 예산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세수가 지난해와 비슷한 상황에서 지방채를 추가 발행해 재원을 확보할 경우 도민의 부담만 가중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 나와서다.
실제 도의 채무잔액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2020년 1조7천억원, 2021년 2조9천억원, 2022년 3조8천억원, 2023년 4조5천억원 등으로 4년 사이 3조여원이 증가했다. 예산대비 채무비율도 2020년 4.53%, 2021년 6.18%, 2022년 9.12%, 2023년 11.6%로 같은 기간 7%포인트 상승했다.
결국 도가 추가 지방채 발행의 당위성을 도의회에 설득하는 게 이번 추경안 처리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2025년 본예산안 심사에서도 도의회는 도의 지방채 발행 계획을 강하게 비판하며 도민의 부담 경감 방안 마련을 주문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허승범 도 기획조정실장은 “지방채를 올해까지 약 5천800억원을 발행할 예정이며 추가로 3천600억원 내외의 여력이 있다”며 “도의회와 충분한 협의를 거쳤으며, 예산이 확정되면 신속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