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적 대응으로 해양 주권 지켜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중국이 서해 공해상에 해양 관측용 부표를 설치한 것과 관련해 “서해를 내해(內海)로 만들려는 ‘서해공정’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서 교수는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최근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PMZ) 부근 공해상에 해양 관측용 부표를 추가로 설치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며 “중국이 설치한 부표는 총 13기가 됐다”고 전했다.
서 교수는 “2018년 서해 잠정조치수역 안팎에 해양 관측 명목으로 폭 3m, 높이 6m 크기의 관측 부표 10기를 설치한 데 이어 우리 해군이 파악한 바에 따르면 지난 2023년 5월 이어도 서편 123도 부근에서 중국이 대형 부표 3기를 설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중 1기는 PMZ 내부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면서 “이는 서해의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우려했다.
서 교수는 “PMZ에서의 중국 측 구조물 무단 설치 등을 예의주시하고 있고 해양주권 보호를 위해 유관 부처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는 국방부 관계자의 말을 전하며 “중국의 ‘동북공정’을 경험했기에 우리 정부도 항의만 할 것이 아니라 ‘비례적 대응’을 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더이상 중국에 당하고만 있을 것이 아니라 더욱더 강한 맞대응으로 우리의 해양 주권을 반드시 지켜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