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들 "'대통령 이재명', 가장 강력한 한국 대통령 탄생"

정예은 인턴기자 ye9@kyeonggi.com
기자페이지
AFP 등 주요 외신 "계엄 이후 이어진 정치적 혼란 마침표"
실용주의 외교 정책 주목…한미 관계 악화 우려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에 당선되며 3년 만에 정권 교체가 이뤄졌다. 이 당선인은 수도권과 호남, 충청 등 대부분 지역에서 앞서며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큰 격차로 눌렀다. 이 당선인은 "민생 회복과 국민 통합"을 약속했다. 사진은 4일 새벽 국회 앞 수락 연설에 나선 이 당선인의 모습. 조주현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에 당선되며 3년 만에 정권 교체가 이뤄졌다. 이 당선인은 수도권과 호남, 충청 등 대부분 지역에서 앞서며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큰 격차로 눌렀다. 이 당선인은 "민생 회복과 국민 통합"을 약속했다. 사진은 4일 새벽 국회 앞 수락 연설에 나선 이 당선인의 모습. 조주현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이 확정되자 외신들은 이를 긴급 타전했다. 특히 뉴욕타임스 등 미국 언론은 "최근 수십 년간 가장 강력한 대통령 중 한 명이 될 수 있다"며 "실용적 미중 외교 및 대북 정책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상파 3사(KBS‧MBC‧SBS)가 이 대통령의 당선 확실 소식을 발표한 이후 로이터 통신 등 외신들은 일제히 이를 실시간으로 전했다. 프랑스 AFP 통신은 3일(현지시간) 이 후보의 압도적인 승리가 예상된다고 보도하며 "거의 30년 만에 최고 투표율을 기록한 이번 선거로 (한국은) 수개월간 이어진 정치적 혼란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고 평가했다.

 

외신들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실용주의적 노선을 택하려는 이 대통령의 외교 정책과 인권 존중을 바탕으로 한 대북정책에 특히 주목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미국을 외교의 축으로 삼되, 의존하지 않겠다는 이 대통령의 당선 승낙 연설을 언급하며 "한때 자신을 버니 샌더스 미 상원 의원에 비유한 적이 있는 이재명은 한미 관계가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를 배제하길 원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버니 샌더스 의원은 미국 정치계의 대표적인 진보 진영 인사로 분류되는 인물이다.

 

WSJ는 "(한국과 미국) 두 나라의 관계가 꽤 빠르게 악화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한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한국 연구 펠로우의 의견을 인용해 한미 관계가 악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행정부의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와 국가별 상대관세에 기반한 관세 정책 등이 이 대통령의 실용주의적 외교 노선과 충돌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개표 현황 등 한국의 대선 관련 속보를 실시간으로 전하던 뉴욕타임스는 "의회가 다수당을 차지한 가운데 대통령이 된 이재명은 최근 수십년 간 한국이 뽑은 가장 강력한 대통령으로 취임하게 될 것"이라며 "분열된 나라를 치유하고 침체된 경제를 살리는데 막강한 권력을 행사할 것인지, 정치 보복을 감행해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동맹국인 미국을 소외시킬 것인지 한국 안팎에서 궁금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영국 BBC는 "한국이 계엄 사태 이후 '혼란의 6개월' 끝에 대선을 치렀다"며 "국가를 통합하고 국민들에게 민주주의에 대한 확신을 다시 심어주는 것이 차기 대통령의 중대 과제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 역시 한국의 이번 대통령선거 결과는 지난 정권에 대한 심판과 민주주의의 승리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새 정부는 이전 정권이 초래한 내수 침체 등 경제 둔화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 등 여러 어려움 속에서 출범했다고 짚었다.

 

일본 언론도 한국의 대통령 선거 결과를 전하며 이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한일 관계에 미칠 영향을 진단했다. 교도통신은 "3년 만에 한국이 진보 정권으로 교체된다"면서도 "한일 협력에 의욕을 보이고 있지만, 지지 기반은 일본에 엄격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양국의 관계를 전망하기 어렵다"고 예측했다.

 

중국 매체는 이 대통령의 외교 정책 기조가 미중 간 균형 외교에 있다는 것에 주목하며 한중 관계의 개선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관영 매체인 환구시보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앞둔 상황에서 차기 (한국) 정부는 최대 무역국인 중국과 경색된 관계를 회복하고 양자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