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전쟁역사를 담은 우리 ‘음식’…‘2025 코리아 메모리얼 푸드 페스타’ 성료

이현재 하남시장(왼쪽)과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오른쪽)이 함께 미사경정공원에서 열린 ‘2025 코리아 메모리얼 푸드 페스타’ 행사장을 둘러보고 있다. 하남시 제공
이현재 하남시장(왼쪽)과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오른쪽)이 함께 미사경정공원에서 열린 ‘2025 코리아 메모리얼 푸드 페스타’ 행사장을 둘러보고 있다. 하남시 제공

 

광복 80주년과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하남시 미사경정공원 일원에서 주말 동안 특별한 경험의 만남이 이뤄졌다.

 

독립운동과 전쟁의 역사를 ‘음식’이란 매개로 조명하는 문화축제 ‘2025 코리아 메모리얼 푸드 페스타’가 성황리에 펼쳐졌다.

 

국가보훈부가 주최하고 하남시가 후원한 2025 코리아 메모리얼 푸드 페스타가 지난 13일부터 3일 동안 하남시 미사경정공원에서 진행됐다.

 

푸드페스타는 유명 셰프가 독립운동가들이 즐겨 찾은 요리 등을 시연하면서 관람객과 함께하는 음식을 주제로 한 특별한 문화축제로 구성됐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과 이현재 하남시장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13일 행사 첫날 개막식을 전후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전개됐다.

 

이날 김미령·조광효 셰프가 ‘광복 레시피’를 주제로 요리 대결을 펼치는 식전 프로그램이 주목을 받았다.

 

두 셰프는 각각 잣을 곁들인 버섯두부전골, 감자만두와 옥수수 소스를 선보이며 현장에서 호응을 얻었다. 최현석 셰프는 일제강점기 프랑스에서 외교활동을 전개한 서영해 선생이 현지에서 즐긴 해산물 스튜와 밀빵 요리를 재해석하고 정호영 셰프는 독립유공자 오건해 선생이 직접 기른 콩으로 만든 두부를 활용해 만들었다는 납작두부볶음을 즉석에서 요리하는 ‘라이브 쿠킹쇼’를 선보였다.

 

이날 오후 늦게 미사경정공원에서는 가수 경서·전유진의 개막 축하 무대와 함께 1천여대의 드론이 그려낸 ‘기억의 장면’이 펼쳐졌다. 드론쇼는 김구, 윤봉길 등 독립운동가들이 요리사로 변신해 음식을 만들고 시식하는 모습을 형상화해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감동적으로 전했다.

 

이어 14일에는 안유성 셰프가 ‘평양냉면’과 ‘5·18민주화운동 주먹밥’을, 정지선 셰프는 김구 선생과 지복영 지사가 즐겨 먹은 것으로 알려진 ‘쭝쯔’(찹쌀과 쌀가루를 댓잎이나 연잎으로 감싸 찌는 음식)와 ‘총유병’(밀가루 반죽 안에 참기름과 쪽파를 넣고 구운 파전)을 공개했다.

 

마지막 날인 15일에는 이원일 셰프가 김구 선생 어머니인 곽낙원 여사의 사연을 바탕으로 한 ‘우거지 장터국밥’을 현장에서 직접 요리해 참석자들로부터 눈길을 끌었다.

 

이와 함께 이번 행사 기간에는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 22개국의 전통음식을 체험할 수 있는 ‘연대의 식탁’ 부스를 비롯해 하남시 특산물인 부추를 활용한 지역 중·소상공인들의 음식, 국민참여단이 준비한 요리 등 총 140여종의 다채로운 음식이 공개됐다.

 

이현재 시장은 개회사에서 “하남은 일상 속에서 문화를 누릴 수 있는 도시로 버스킹 공연, 뮤직 인 더 하남, 이성산성 문화제 등 다양한 행사를 지속적으로 펼쳐왔다”며 “케이팝 공연장과 세계적 스튜디오를 조성하는 K-스타월드로 하남이 세계 속의 K-컬처 허브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