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 ㈜카카오로부터 6천억원 규모의 ‘AI 기반 디지털 허브’ 투자를 유치하며, 경기 북부를 AI 산업 중심지로 탈바꿈시키는 신호탄을 쐈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13일 경기도청에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 주광덕 남양주시장,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과 함께 ‘AI 디지털 허브 건립 투자협약’을 했다.
카카오는 남양주 왕숙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약 3만4천㎡ 부지에 디지털 허브를 조성할 계획으로, 내년 착공해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도와 남양주시는 부지 확보 및 인허가 등 행정 절차를, LH는 산업단지 조성과 부지 공급을 맡는다.
도는 이번 유치가 수도권 규제와 기업 유치 어려움을 겪어온 경기 북부에 국내 대표 디지털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의 대규모 투자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도는 이번 협약이 데이터·AI 산업 생태계 조성과 첨단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균형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카오 역시 디지털 허브를 단순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 모델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지역 스타트업과 시민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운영하고, 도민 우선 채용, 소상공인 지원,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김 지사는 “도에서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시행 절차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이번 투자를 통해 북부 대개조 사업에 있어서 변함없는 의지를 보여주고 계획대로 추진할 수 있도록 다 같이 힘을 모아달라”고 강조했다.
정신아 대표는 “AI 대중화 시대를 맞아 모든 국민이 일상에서 쉽고 편리하게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카카오의 목표”라며 “카카오 ‘디지털 허브’는 AI 대중화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구축할 예정이며, 남양주 지역 발전 및 상생을 위한 협력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남양주왕숙 공공주택지구는 남양주 진접읍, 진건읍, 퇴계원읍, 일패동, 이패동 일원 1천29만㎡(약 311만평)부지에 조성된다. 2019년 공공주택지구에 지정됐으며 2023년 6월 착공, 2028년 하반기 준공될 예정이다. 도시 자족기능 확보를 위해 2026년 지구내 120만㎡(약 36만평) 규모로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지정할 계획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