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에 오르기 전 ‘저길 어떻게 가?’ 해도 막상 가다보면 멀리 와있음을 알게 됩니다. 누가 저희를 끌고가는 게 아니라 누군가 저희를 따라오게끔 분주히 움직이는 조합을 만들겠습니다.”
지난 2월 취임한 백정호 광주왕실도예사업협동조합 이사장(58)은 “우리는 일단 한 발 나갈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조합을 발전시키겠다는 의지와 함께 광주의 자랑인 왕실도자기를 알리겠다는 다짐이었다.
그와의 인터뷰는 ‘달 항아리(Moon Jar)’에서 출발했다. 어떠한 무늬와 장식도 없는, 완전한 원형일 수 없고 비정형이라고도 볼 수 없는 세계적 예술품 ‘백자 달 항아리’가 경기 광주에서 탄생했다는 설명이었다.
백 이사장은 “조선시대 왕실과 관청에서는 경상도·전라도·충청도 등 전국 각지로부터 백자 등을 공급 받았다. 그때 질이 가장 좋고 우수하다고 평가됐던 게 (현재 달 항아리로 불리우는) 우리 광주 도자기”라며 “쉽게 비유하면 예전에는 특산물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관요(官窯)와 사옹원(司饔院)이 있었는데, 도자기만 별도로 광주에 분원을 뒀을 정도”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달 항아리는 우리나라 고유의 멋이자 맛”이라며 “그 역사가 조선에서, 그 중에서도 경기 광주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가장 강조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도자기를 구우려면 가마가 필요하고 가마에는 땔감이 들어간다. 주된 땔감은 소나무였는데, 베고 자라기까지의 시간을 고려해 10년 주기로 분원이 옮겨다녔다. 그렇게 광주 이곳저곳에 왕실도자기와 관련한 ‘흔적’이 남게 됐다.
백 이사장은 “마지막 분원은 현재의 팔당댐 일대로 약 130여 년을 자리했다. 그 전까지만 해도 소나무를 따라 옮겨다녔기 때문에 지금 광주 어디를 가도 가마터나 도자기 파편이 나올 수밖에 없다”며 “왕실도자기의 역사가 곧 광주의 역사”라고 했다.
수많은 자기와 수많은 생산지역이 있지만 그는 광주를 ‘종갓집’에 빗댔다. 하지만 왕실도, 관청도 존재하지 않는 오늘날, 왕실도자기를 일군 ‘종갓집 도예인’들의 고민은 깊기만 하다. 인테리어 소품용으로 상업화하자니 왕실도자기의 가치가 떨어질 것 같고, 왕실도자기의 역사성을 기리자니 수요가 낮아질 것 같은 딜레마에 놓여서다.
백정호 이사장은 “왕실도자기로서의 고품격, 고부가가치만 추구한다면 더이상 맥을 이어갈 수 없을 것”이라며 “이미 업계가 고령화 돼 있고 도자기를 찾는 수요도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앞으로는 ‘대중적’이면서도 ‘고급적’인 작품을 제시해야 한다는 게 우리 조합의 가장 큰 몫이자 숙제”라고 했다.
그는 이른바 ‘굿즈’처럼 임기 내 조합만의 브랜드 상품을 만들고 싶다는 꿈을 꾼다.
백 이사장은 “과거에 비해 조합원사가 많이 줄어 지금은 37개사가 함께하고 있다. 다들 ‘먹고 살기 힘들다’지만 아무리 적게 팔리고, 선조들이 했던 것보다 인기가 없어도, 결국은 자기가 좋아서 이 일을 놓지 못한다”며 “조합 공동의 생산·제조 품목 등을 만들어 조합원들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게 저의 과제이자 바람”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