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제1회 추경 39조2천826억원 확정…민생·산업·SOC에 ‘방점’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의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이 본예산 38조7천221억원 대비 5천605억원 늘어난 39조2천826억원 규모로 확정됐다.

 

도는 지난 27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4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1회 추경안이 통과, 확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추경은 민생경제 회복,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요 사업 등 도정 핵심 과제에 집중됐다. 일반회계 5천141억원, 특별회계 464억원이 각각 늘었다.

 

먼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예산은 총 2천294억원 규모다. 지역 소비 촉진을 위해 ‘지역화폐 발행지원’에 1천28억원이 편성됐으며, 대중교통비 경감을 위한 ‘경기패스’에 101억원,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에 60억원이 배정됐다. 또 주거 안정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건설 및 매입·전세 임대에 459억원이 투입된다.

 

미래 산업 육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총 652억원 규모의 관련 예산에는 팹리스 반도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양산지원 및 인력 양성 37억원, 시제품 개발 6억원, 기술센터 운영 12억원이 포함됐다. 이와 함께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70억원 ▲스타트업 글로벌 펀드 40억원 ▲수출기업 지원 23억원 등 도내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활로 확대에도 힘을 보탰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요 SOC 사업에는 1천534억원이 투입된다. 도로, 하천 등 기반시설 확충에 ▲국지도·지방도 사업 658억원 ▲도로 선형 개량 사업 60억원 ▲지방하천 정비 390억원 ▲하수관로 정비 299억원이 각각 편성됐다. 특히 도는 내년까지 9개 도로 노선을 준공·개통해 교통 편의 증진과 물류비용 절감을 꾀한다는 구상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도의 올해 1회 추경안 통과와 관련해 “경기도 추경예산이 새 정부 민생 추경과 더불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며 “의결된 소중한 예산은 무너진 민생과 침체된 경제를 다시 일으키는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