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에 상호관세율 24→30~35% 상향 가능성 압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재차 내비치며 일본에 30% 이상의 고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를 방문한 뒤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안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오는 9일부터 각국에 상호관세 부과 가능성을 내비쳤다.
특히 일본을 언급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일본을 상대해 왔는데, 나는 합의를 할지 확신을 못하겠다”며 “일본산 수입품에 30%나 35% 또는 우리가 결정하는 어떤 수치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지난 4월9일 전 세계 각국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일본에 대해 24%의 상호관세율을 책정하겠다고 한 바 있으나, 이를 30% 이상의 고관세로 상향할 수 있음을 시사한 셈이다.
미국과 일본이 상호관세를 두고 협상을 벌이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30일)에도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일본이 대량 쌀부족을 겪고 있음에도 미국에서 수입하지 않는다는 취지로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인도와는 무역 합의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양국은 미국이 인도의 밀과 유제품 등 주요 농산품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고, 인도는 미국산 천연가스를 더 수입하는 방향으로 협상을 진행해왔다.
한편 전 세계 57개 경제주체(56개국과 유럽연합)와 상호관세 차등 적용을 두고 협상을 벌여온 트럼프 행정부는 '90일 유예' 결정에 따라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 기한 만료를 앞두고 있다.
이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관세율,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중심으로 한 협상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는 나라에는 일방적인 상호관세율을 통보하겠다고 경고하는 등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