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에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4조6천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 4조6천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55.94% 감소된 잠정 집계를 8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지난 분기와 비교해 31.24% 감소했다. 또한,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6조69억원보다 23.4% 낮았다.
분기 영업이익은 2023년 4분기(2조8천247억원) 이후 가장 낮았다. 2분기 기준 2023년 2분기(6천685억원) 이후 2년 만에 최저다.
매출은 74조원이었다. 이 역시 지난해 동기 대비 0.09% 줄었고, 전 분기 대비 6.49%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재고 충당 및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이익이 하락했다"고 알렸다.
이어 "메모리 사업은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같은 일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개선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은 고객별로 평가 및 출하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HBM 실적이 계획에 미치지 못했고, 낸드는 전 분기 대비 가격이 하락하면서 적자 규모가 소폭 확대된 것으로 추정한다"며 "파운드리도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의 적자를 예상하며, 6월 이후 급락한 원/달러 환율도 매출과 영업이익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분기 전사 실적을 이끈 모바일경험(MX)사업부도 갤럭시 S25 출시 효과 소멸로 인한 비수기다.
TV와 가전 사업 자체에 대한 수요가 떨어진 상황에서 관세 부담, 시장 경쟁 심화 등 비용 증가로 인해 수익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이날 부문별 실적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다만, 증권업계에서는 반도체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의 영업이익을 1조원대로 예상한다.
타 사업부 영업이익 전망치는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사업부 2조원대, 디스플레이 6천억∼7천억원, TV·가전 4천억∼5천억원, 하만 3천억∼4천억원 등이다.
삼성전자 실적은 하반기 메모리 사업 위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메모리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모바일과 디스플레이도 성수기에 진입하기 때문이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도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올해 2분기가 바닥일 것으로 보이며 점진적인 개선을 예상한다"며 "HBM3E 12단 제품의 AMD 공급 당에 D램 내 HBM 비중이 상승하고, 파운드리도 신규 거래처 가세와 비용 효율화에 힘입어 적자 폭이 3분기부터 줄어들 것"이라고 알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