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경제가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잘 갖추고 있는 나라이다. 기업이 국가경제의 근간이며 기둥이기 때문이다. 기업활동하기가 나쁜 나라에서는 기업인들의 기업가 정신이 잘 발휘되기 어렵기 때문에 기업의 발전을 통한 국가경제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런데 세계은행에서 9월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이 조사대상 155개국 중에서 ‘기업하기 좋은 나라’ 27위에 머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계은행에서 기업활동 여건을 평가한 ‘2006년 기업활동(Doing Business) 보고서’는 세계은행에서 의뢰 받은 국제금융공사(IFC)가 공무원, 학자, 변호사, 회계사, 기업상담사 등 전 세계 전문가 3천500명의 의견을 토대로 기업환경을 평가한 것으로 10개 항목을 토대로 하고 있다.
올해의 종합평가에서는 뉴질랜드가 1위를 기록하고, 2위에 싱가포르, 3위에 미국, 4위에 캐나다, 5위에 노르웨이, 6위에 호주, 7위에 홍콩, 8위에 덴마크, 9위에 영국, 10위에 일본이 랭크되어 있으며 한국은 27위로 태국(20위), 말레이시아(21위)에 뒤지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국내기업들의 활동에도 영향을 주는 것이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외국기업들의 투자선호도에 그대로 반영된다는 것이다. 요즘 같은 세계화시대에는 글로벌 기업들이 전 세계의 투자적격 국가들을 두루 평가해 투자하게 되는데 ‘기업하기 좋은 나라’의 순위가 밀린다는 것은 투자자를 빼앗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위의 평가항목 중에서 창업여건 분야 같은 것은 세계 97위로 창업하기 어려운 나라라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투자자 보호부문에서 87위 그리고 고용과 해고 등 노동 유연성 부문은 105위로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한국정부는 그동안 ‘동북아의 허브 육성을 위해 기업의 규제를 완화해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고 밝혀왔는데 이러한 정책과 그 실상에는 큰 괴리가 있는 것이다.
어느 국가든지 간에 기업을 하기 좋아야 경제가 살아나는 법이다. 기업의 활동은 자유롭게 마음껏 창의적으로 이뤄져야만 그 효율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가들이 느끼는 정부의 정책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부분에서 개선할 요소가 있는 것 같다. 첫째는 노사관계의 경직이다. 과거 어느 정부보다도 참여정부에서는 노동조합의 힘이 더 크게 느껴지고 있는 것 같다. 노조의 활동은 당연히 있어야 하지만 기업들의 기본적인 생산적인 활동을 저해할 정도의 활동은 분명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생산성이 저하되고 기업가들의 투자 의욕을 떨어뜨리게 된다.
둘째는 정부정책의 신뢰성 문제이다. 정부의 정책은 모든 기업이나 국민들이 어떤 방향으로 가야만 할 것인지에 대한 분명한 나침반이 되어야한다. 국민이나 기업은 정부의 정책 안에서 모든 의사 결정을 하기 때문이다.
우리 이웃나라인 일본도 1990년대 초반까지 춘투라는 노동계의 관행으로 큰 고초를 겪은바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선진국으로 가기 위한 과정이기는 하나 이러한 과정이 지나치게 길거나 큰비용을 지불하게 된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선진국들의 경우를 타산지석(他山之石)의 예로 삼아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줄이려면 기업하기 좋은 나라의 환경을 정부가 조성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 영 권 경영학 박사
KBS2 라디오 ‘경제포커스 ’ 진행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