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비행장 활주로 문제 끝나지 않았다

2010년 10월15일 국회 국방위원회 공군본부 국정감사에서 박종헌 공군참모총장으로부터 공식적인 답변을 듣고 싶어 질문을 던졌다. “비행장 안으로 (비상활주로 이전이)확정되었다는 것인가요”라는 질문에 공군참모총장은 “그렇습니다”라고 답변했다. 이 같은 답변이 나오기까지 약 37년이 흘렀고, 개인적으로는 약 2년이 걸렸다. 18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돼 위 답변을 듣기 위해 국방대학원을 다니고, 국방부 장관을 만나고, 실무자들과 수차례 회의도 하고, 위원회도 국방위원회로 옮겼다. 30년간의 수원시민들의 숙원사업이었던 그 일이 이제 해결된다고 하니 그저 감사할 뿐이다.

 

2008년 수원 권선구에서 국회의원으로 출마하고자 했을 때 수원비행장 이전 문제가 큰 이슈 중 하나였다. 누구는 이전이 가능하다고 했고, 누구는 이전은 불가능하다고 했고, 비상활주로도 불가능하다고까지 이야기했다. 30여년간 공약사항으로만 내걸렸던 문제가 비행장 이전과 비상활주로 이전이었는데, 지금까지도 해결되지 않는 것을 보면 불가능한 문제가 아닌가하는 의구심도 들었다.

 

우선, 비행장 이전과 비상활주로 이전이 가능한 것인지부터 알아야 이전을 추진하거나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국방대학원을 다니며 전문가들의 정확한 의견을 듣는 것이었다.

 

비행장 이전 문제는 이전할 최적의 장소를 찾기 전까지는 가능한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 국방전문가와 국방부 실무자들의 답변이었다. 그래서 가능한 것이 무엇인지를 찾기 시작했고, 비상활주로로 지정돼 약 30여년간 단 한 번도 사용하지 아니한 수원비행장 비상활주로 부분은 국방전문가들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상활주로로 인해 인근 권선동, 세류동, 장지동 주민들은 2-11층(6-33미터)까지 건축에 제한을 받아왔다. 주 활주로에 따른 고도제한(5구역 45미터)에다 비상활주로 지정에 따른 고도제한(2-3구역 6-33미터)까지 적용되면서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가 중첩되어 제한을 받아왔지만, 국방이라는 중요한 가치 때문에 지역주민들이 지금까지 견뎌온 것이다. 이를 경제적 피해액으로 환산할 때 약 1조원 이상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지난 2010년 8월11일, 김문수 경기도 지사, 공군본부와 함께 수원비행장 비상활주로 이전에 대해 실무적 협의를 했고, 2010년 10월15일, 공군참모총장의 공식적 확인, 여기까지 2년이 걸렸다.

 

그러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경기도와 수원시간의 비용분담금 문제 때문에 지체가 될 수 있기에 끝까지 확인하고 점검해야 한다. 또, 비상활주로 이전 문제가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주민들에게 사실관계를 충분히 알리는 노력도 필요하다.

 

일부에서 비상활주로를 해제할 것이 아니라 비행장을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음도 알고 있다. 지난 30여년간 이야기해온 정치적 공약을 되풀이하고 있다. 비행장 이전이 가능하다면 지난 참여정부에서 이전에 관한 이야기가 진지하게 논의되지 못하고, 실무협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한 까닭은 무엇인가? 국방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이야기하는 비행장 이전부지가 제대로 확정되지 못하고 있는 까닭에 비행장 이전 문제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이제 대안 없이 말만 하는 정치, 무책임한 정치는 그만해야 한다. 우선 가능한 부분부터 추진돼야 한다. 진정성 없이 가능하다고 하는 말, 책임지지 않는 말은 누구나 할 수 있다. 앞으로는 진정성이 없는 정치인과 정치는 국민들로부터 사랑받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난 정치적 기교 같은 것 부릴 줄도 모르고, 포장하는 것도 잘 못한다. 내가 잘 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진정성으로 나를 선택해준 우리 수원 권선구 주민들을 위해서 오늘도 그리고 내일도 묵묵히 움직이는 것이다.

 

정 미 경

국회의원(한·수원 권선)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