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만 인천 지역일꾼
“평소 얼굴 한 번 볼 수 없던 의원 부인이 돌아다니는 걸 보니 선거철이 왔긴 왔나 봅니다.”
한 시민이 무늬만 인천인 정치인들을 비꼬아 한 말이다. 인천 총선에 나선 여야 후보 중 상당수의 삶터가 사실상 서울 등 다른 지역인 것으로 나타나 유권자들의 실망이 커지고 있다.
무늬만 인천이라는 지적을 받는 이들의 부류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로 아내와 자녀들이 서울에 살면서 자신은 지역구 친척(장모)집에 주소를 옮긴 경우다. 둘째는 서울 강남지역 등에 자신 명의나 가족 명의로 아파트나 상가 등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다.
문제는 이런 후보들은 당선돼도 생활 범위가 서울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재테크, 의정 활동 편의, 자녀 학업 문제 등이 인천은 떠날 수 있어도, 서울은 떠날 수 없다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다.
일부 의원은 주말에 지역구를 내려갈 때 “지역구 관리하러 간다”고 말들을 한다. 그들에게 지역구는 삶터가 아니라 ‘관리’하는 곳인 셈이다.
당선돼도 인천은 떠나도 서울은 못떠나…
선거철에만 한철, 현안 해결 등에 열정 부족
이들 의원은 낙선하면 곧바로 집이 있는 서울로 돌아간다. 현재 전직 의원 중 인천에 남아 있는 사람은 별로 없다. 사실상 인천 정치권을 무늬만 인천인이 장악하는 것은 지역 밀착성, 지역 현안 해결에 대한 열정 등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가령 자녀를 서울의 학교에 보내는 의원과 지역구에서 키우는 의원 중 어느 쪽이 지역의 교육여건 개선에 진정성과 열정을 갖겠느냐는 것이다.
한 정치전문가는 “의원들이 일상생활에서 지역민의 목소리를 듣고 의정 활동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하는데, 서울을 근거지로 하다 보면 오히려 중앙집권형 사고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의원들도 있다”며 “잘 보이진 않지만, 지역 정치의 한계와 관련된 근원적인 문제로 본다”고 말했다.
이런 점에서 부산진갑에 출마한 김영춘 후보의 도전은 주목을 끈다.
서울에서 재선의원을 한 김 후보는 지난해 6월 서울의 기득권을 포기하고 부산 출마를 선언했다. 그는 가족과 함께 부산으로 이사하고 중학생인 자녀를 지역구의 모 중학교에 입학시키기도 했다.
대다수 의원이 당선 뒤 자녀를 서울로 보내는 것과는 정반대의 선택을 한 것이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