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회 반납땐 손배금까지 ‘덤터기’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인천AG)가 정부 지원 난색으로 개최권 반납과 파행 개최라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시달리고 있다.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은 중앙 정부 지원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회를 반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와 맺은 ‘개최 도시 계약서’에는 대회 반납 시 인천시가 대체 개최 도시의 대회 비용 전액과 OCA가 요구하는 손해배상금 등을 고스란히 책임지도록 적혀 있다.
이미 들어간 공사비 5천700억원 등 매몰비용까지 감안하면 대회 반납은 쉽지 않다.
세계 7번째 ‘20-50클럽’ 가입·수조원대 외투 유치 ‘물거품’
정부-인천시, 국가브랜드 추락 ‘최악 사태’ 방지 힘 합쳐야
나머지 공사비 9천474억원 등 총 2조2천156억원의 인천AG 관련 부채 부담을 져야 하는 시가 단독 개최를 할 경우 경기장 및 숙소 시설 미흡 등에 따른 파행 개최가 우려된다.
이 같은 인천AG 개최 차질은 곧바로 인천과 대한민국의 국제 신인도 추락으로 이어진다.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을 중심으로 아시아 중심 도시 도약을 추진하는 시나, 세계 7번째로 20-50클럽(1인당 소득 2만달러 인구 5천만명) 가입을 앞둔 대한민국의 위상에는 치명적이다.
시가 현재 진행 중인 송도와 영종도에 추진 중인 대규모 투자유치 프로젝트에 직격탄이 될 수도 있다.
사업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글로벌 기업들이 대한민국 정부의 신뢰와 지원을 받지 못하는 시만을 믿고 수조원대 사업에 뛰어든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국제사회의 약속인 대회를 제대로 치러내지 못한 도시와 국가를 믿고 투자할 외국기업은 없다.
차세대 국가 경제 경쟁력 프로젝트이자 국내 6개 경제자유구역(FEZ)을 선도하고 있는 IFEZ의 국제 신인도 추락은 향후 대한민국 경제에도 적지 않은 악역향이 미칠 수 있다.
정부와 시는 인천AG 차질에 따른 국가 브랜드 훼손이라는 최악의 사태 방지를 위한 대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김미경 기자 kmk@kyeonggi.com
글 싣는 순서
上 첫 단추 잘못 끼운 인천시
中 인천-국가 이미지 동반 훼손 우려
下 정부도 성공개최 힘 보태야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