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유시설 민영화 절대 안된다”

노조·정치권 “특혜를 넘어 국가 물류정책 포기 행위” 반발

인천국제공항의 항공유를 독점으로 보관·급유하는 인천국제공항급유시설㈜가 사실상 민영화 전철을 밟자 정치권을 비롯해 인천지역에서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윤관석 민주당 부대표(남동을)는 12일 제8차 고위정책회의에서 “인천국제공항급유시설㈜은 공항의 필수시설을 독점운영해 매년 60억~70억원의 흑자를 내는 기업이다. 정부가 직영하면 민간에 넘기는 것보다 많은 수입을 얻을 수 있다”면서 “이런데도 민영화하는 것은 특정재벌에 국가와 국민의 이익을 넘기겠다는 의도”라고 지적했다.

특히 정치권과 인천공항노조 등은 급유시설 민영화는 곧 인천공항 민영화의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문병호 의원(민·부평갑)은 “급유 서비스는 항공기 이륙을 위한 필수사항으로 안정적 공항운영을 위해 경쟁체제가 도입될 수 없는 독점사업으로 민간업체의 수익창출 목적으로 운영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 상식”이라며 “이는 인천공항을 시설별로 분할매각하겠다는 의도이고, 특정기업에 대한 특혜를 넘어 국가 물류정책에 대한 포기로 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공항공사 노조도 공항공사에 2천억원이라는 거액을 들여 급유시설을 인수토록 하고, 이를 민간에 주는 것은 인천공항을 편법으로 분할 매각하는 민영화와 다름없다는 입장이다.

강용규 노조위원장은 “인천공항을 지을 당시는 IMF 시기여서 민간자본을 유치해 지은 시설들이 많은데, 이를 모두 민간에 넘긴다면 인천공항은 수익 없는 껍데기만 남게 된다”면서 “정부는 당장 인천공항은 물론 각종 시설 민영화를 멈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 지역에서도 반발이 거세다. 인천시는 인천공항의 민자시설들은 공항의 핵심 필수시설인 동시에 이윤을 낼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그 이익을 공항 주변지역에 재투자될 수 있도록 직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 관계자는 “향후 인천공항과 관련된 민자사업에 의한 기부채납 시설의 운영 또한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보다는 공항공사와 관계전문가, 지자체 등이 논의해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