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통신비 부담 OECD 3위, 스마트폰 사용으로 무선통신요금 '1위'

우리나라 가정의 통신비 부담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3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선통신요금 비중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보급이 가계 부담을 키운 것으로 분석됐다.

14일 OECD의 '2013 커뮤니케이션 아웃룩'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우리나라의 월평균 가계 통신비 지출액은 148.39달러(구매력평가지수환율 적용)로 3위를 차지했다.

34개의 회원국 가운데 1위는 일본(160.52달러), 2위는 미국(153.13)이 차지했다.

우리나라에 이어 멕시코(143.17), 아일랜드(142.11), 룩셈부르크(142.10), 오스트리아(136.39), 핀란드(133.47), 캐나다(129.83), 스페인(124.03)이 뒤를 이었다.

가계 통신비에는 이동전화와 유선전화, 초고속인터넷, 유무선 단말기 가격이 모두 포함됐다.

우리나라 가계통신비를 항목별로 보면 무선통신요금 115.5달러, 유선통신요금 43.6달러, 인터넷요금 21.2달러로 무선 요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실제 무선통신요금 기준으로는 우리나라가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반면 유선통신요금은 11.7달러로 체코(5.9)를 제외하고 가장 낮았다. 휴대전화의 보급으로 유선통신 사용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한국은 스마트폰 보급률과 무선인터넷 보급률이 굉장히 높다"며 "특히 1인당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이 1.2GB에 이를만큼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 국가"라고 설명했다.

또 "한국의 가계통신비 지출이 이처럼 높은 것은 통신기기와 통신서비스에 치중하기 때문"이라며 "고사양 단말기 선호현상과 빠른 휴대전화 교체주기 등도 통신비 부담을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한국 통신비 부담 OECD 3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