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6차회담도 끝내 무산… 기업들 “살 길 찾겠다”

남북 합의점 못찾고 ‘기싸움 팽팽’ 개성공단 정상화 사실상 ‘불투명’ 
“기다린채 빚만 떠안을 수 없다” 상당수 기업, 해외 생산기지 모색

여섯 차례에 걸친 남북 실무회담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개성공단 정상화가 상당기간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정부가 개성공단 사태와 관련한 긴급 성명을 발표하며 북한에 마지막 회담을 제안했지만,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은 사실상 남북 실무회담에서는 더이상 기대할 게 없다며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10일 개성공단 출경 금지 100일여만에 공단을 찾아 자재 등 부품을 확인하며 개성공단 정상화를 기대하기도 했지만, 남북 간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개성공단 출구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도내 상당수 기업들은 이미 생산시설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인건비가 저렴한 동남아시아 등으로 옮기는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재발 방지책을 요구하는 정부의 입장에 북한의 변화있는 태도가 선뜻 나올 리 없다는 판단에서다.

옥성석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은 “해외 이전을 추진했던 기업들이 회담 시작 이후 다시 기다려보자는 쪽으로 입장을 바꿨지만, 최근 다시 해외 생산기지 설립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며 “답이 나오지 않는 회담만 기다린 채 빚만 떠안을 수는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지난 25일 6차 남북 회담이 후속 일정조차 잡지 못한 채 서로의 팽팽한 입장 차만 확인하고 끝내 무산되자, 입주기업 비대위 대표들은 26일 오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를 방문해 김남식 통일부 차관에게 입주기업인들의 뜻을 전달하기도 했다.

이들은 개성공단 유지에 대한 정부의 명확한 입장과 함께 주재원과 국내 지원인력의 생존권 보장, 경협보험금의 신속한 집행, 피해실태 조사결과에 따른 긴급대출 등 현실적인 피해기업 지원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부천시 소재 개성공단 입주기업인 A씨는“우리 정부나 북한이나 모두 양보할 의사도, 물러설 뜻도 없어보여 사실상 개성공단은 포기하고 오는 8월 안으로 국내에 개성공단을 대신할 공장을 지을 예정”이라며 “정부에서 유턴기업으로 인정해주는 등의 보상이 제대로 진행되기를 바랄 뿐”이라고 전했다.

한편 개성공단 입주기업 비대위 측은 오는 30일 대응방안을 논의해 향후 입장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