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우편번호 폐지, 5자리 기초구역번호 도입… 이유는?

현행 우편번호가 폐지되고 기초구역번호가 도입된다.

22일 미래창조과학부 우정사업본부는 우편번호 변환 작업과 함께 우편분류 기계 등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개편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정본부가 이런 작업을 진행하는 이유는 현행 우편번호와 새 우편번호인 기초구역번호와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초구역번호는 안전행정부가 공공기관마다 제각각 적용해 온 기준을 단일화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로 새 번호가 현행 우편번호를 대체하면 우편번호의 숫자 길이가 현재 6자리에서 5자리로 줄어들며 번호 자체도 이전과는 완전히 달라진다.

안전행정부는 지형지물, 인구, 사업장 수 등을 고려해 격자형태로 기초구역을 나눴으며 기초구역 번호는 시·군·구를 나타내는 첫 세자리와 읍·면·동을 나타내는 뒤의 두자리 번호 조합으로 이뤄진다.

기초구역제도는 내년 1월부터 시행되며 우정본부는 준비과정을 거쳐 1년 반 뒤인 2015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도입한다. 그전까지는 기존의 우편번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에 대해 우정본부 관계자는 "기초구역번호로 효율 검증 작업을 한 결과 배송이 더 편리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새 우편번호에 익숙해지는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일단 익숙해지면 업무 효율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전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현행 우편번호 폐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